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행한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 2020년 1월 이후 이직 경험이 있는 비정규직은 48%로 정규직(16.2%)보다 3배 정도 많았습니다.
이직한 뒤 급여가 줄어든 경우도 비정규직(49.5%)이 정규직(35.1%)보다 많았습니다.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격리하는 기간 동안 재택근무를 해야 했다는 응답자도 29.5%에 달했고, 4.8%는 직장에 출근해 일한 적 있다고 답했습니다.
코로나19에 확진됐지만 출근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대신 맡아줄 사람이 없어서(56.2%)였고, 동료들에게 피해를 주기 싫어서(29.8%), 복귀 후 업무에 부담이 돼서(21.5%) 등 순이었습니다.
직장갑질119는 "비정규직은 지난 2년 동안 더욱 저하된 근로조건으로 내몰리며 '빈곤 위험'까지 감수하고 있다"며 "지원정책이 시급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