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등 최근 FTA 체결이 잇따르면서 전남 농수산업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설과 생산성 향상 등 체질 개선과 함께, 무역이익 공유제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합니다. 백지훈 기잡니다.
지난달 한.중 FTA와 한.뉴질랜드 FTA가 잇따라 체결됐습니다.
경제영토가 넓어진다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지만, 농도 전남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중 FTA의 경우, 발효 이후 10년 차에 전남의 농업피해는 4천9백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전국 생산량이 10%가 넘는 전남도의 28개 작물 중 울금을 제외하고 모든 작물이 양허제외됐음에도 5천억 원의 피해가 예상되는 것입니다.
중국은 거리가 가까워 유통비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재배 작물이나 수확시기도 비슷해 전남의 피해는 상상 이상으로 커질 수도
있습니다.
전남도는 농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득보전 직불제 지원 현실화와 가격안정기금 등 59개의 정책 과제를 정부의 건의해 놓은 상탭니다.
스탠드업-백지훈 기자
"전남도의 FTA 대책 대부분이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 사업들이라 얼마나 정부의 지원을 얻어내느냐가 관건입니다"
인터뷰-이기웅(순천대학교 교수)/무역이득공유제가 있습니다. 농업의 희생을 등에 업고 이득을 얻는 제조업자들이 일부라도 돌려주는 것이 경제 민주화고 상생과 통합의 길이 아닌가
하지만, 무역이득 공유제는 3년째 국회에서 계류 중입니다.
중국시장이 완전 개방되는 수산물도 전망이 밝지는 않습니다.
김과 미역, 해삼 등 전남지역 수산물의 대 중국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낡을 대로 낡은 양식장시설 개선 등에 예산 지원이
뒤따라야 합니다.
인터뷰-임여호(한국수산회 전문위원)/수산업발전기금 같은 국가적 차원에서 기금을 마련해서 단기적 대책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어민들이 일어 설 수 있도록 기반 구성에 활용해야
농도 전남이라고 하지만 지난 2012년
전남지역의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3천 2백만 달러로 우리나라 전체의 5.5%에 불과합니다
잇따른 FTA를 대비해 전남 농수산업의 체질개선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밀려올 수입 농수산물의 쓰나미를 피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9-11 17:50
GGM 노조, 지회장 폭행·명예훼손 등 혐의로 윤몽현 대표 등 고소
2025-09-11 16:22
광주 도심 아파트 인근 땅꺼짐...지름1m·깊이 1m
2025-09-11 14:44
조두순, 하교 시간대 4차례 무단 외출해 또 재판 넘겨져
2025-09-11 14:25
광주 기아 2공장 6시간 째 정전...스포티지 생산 차질
2025-09-11 12:50
골목길서 차량 빼던 80대...등교 중인 초등생 4명 덮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