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이 교사들의 시국선언과
합법노조 지위를 잃은 전교조 전임자 복귀 문제로 교육부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재선 진보교육감으로 전국적인 관심을 모은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의 민선 2기가 출범이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민선 2기 출범을 불과 사흘여 앞두고
광주시교육청이 교육부의 엄중 경고를 받았습니다.
청와대 홈페이지에 대통령 퇴진 요구선언을 한 교사들의 신원 확인 요구를 거부했다는 이윱니다.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광주와 전북교육청 두 곳이 경고를 받았지만 전국적으로 광주교육청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양새입니다.
교육부의 전교조 전임자 복귀 명령도 통보 여부 결정을 유보한 4개 교육청에 비해 광주나 전남교육청이 언제 결단을 내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교조 교사들의 조퇴 투쟁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이 명확한 증거가 없는 한 제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또 한 차례 교육부와의 갈등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전화싱크> 광주교육청 관계자
"집회 현장에서 뭔가 파악이 되서 시*도 교육청에 확인 요청이 올 때는 (모르지만) 확인되지 않은 것은 아무 것도 확인할 수 없는거죠."
특히 장휘국 교육감이 민선2기 시도 교육감협의회 의장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교육부는 물론 각 교육관련 단체도 광주시교육청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강효영
광주교총 회장
스탠드업-임소영
재선의 진보교육감이라는 타이틀이 자칫
교육부 등 정부와의 불협화음의 중심에 선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무려 13명의 진보성향 교육감 당선으로
정부가 벌써부터 경계하는 상황에서 장휘국 광주교육감의 행보가 민선2기 출발과 함께 시험대에 오를 전망입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