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인권위원회가 내놓은 '2022년 인권의식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상황에서 드러난 가장 심각한 인권 문제는 무엇이냐'는 질문(복수 응답)에 44.3%가 '영업 제한으로 인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재산권 침해'라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인권위가 주관하고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가 전국 성인남녀 1만 6,148명을 지난해 7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면접 조사한 결과입니다.
이어 '돌봄 공백으로 인한 장애인·노인·아동 등 취약계층 고립'을 꼽은 응답자는 43.5%로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나타냈습니다.
백신접종 여부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차별 (28.2%), 개인정보·사생활 침해 (25.7%), '방역을 이유로 한 사회복지시설 내 접근 제한' (23.9%), '방역을 이유로 한 집회 제한' (18.5%),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표현·차별 증가' (10.7%)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인권 상황에 코로나19가 영향을 줬느냐'는 질문에는 56.4%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복수 응답)으로는 소득 감소나 지출 등 경제문제 (37.6%), 감염 예방·위생 관리 (33.9%), 시설 이용 제약에 따른 불편 (31.1%) 등이 꼽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