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생산 26.5% 급감…10월 산업생산 5년 8개월 만에 최대 감소

    작성 : 2025-11-28 08:35:01
    ▲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산업생산 지표가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소매판매 지표는 석 달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전월 대비 지표의 기저효과가 강하게 작용한 모습입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8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112.9(2020년=100)로 전달보다 2.5% 감소했습니다.

    지난 2020년 2월(-2.9%) 이후로 5년 8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입니다.

    산업생산은 지난 4∼5월 마이너스에서 6∼7월에는 플러스로 돌아섰습니다.

    8월 0.3% 감소했다가 9월에는 1.3% 증가하면서 한 달 주기로 등락을 거듭하는 흐름입니다.

    광공업 생산은 4.0%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생산이 26.5% 급감하면서 지난 1982년 10월(-33.3%) 이후로 43년 만에 최대폭 감소한 탓입니다.

    최근 인공지능(AI) 훈풍으로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와는 별개로 9월 생산이 20% 안팎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 호황으로 생산이 많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기저효과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달에 10%대 급반등했던 건설업 생산 역시 20.9%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3.5% 증가하면서 석 달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습니다.

    투자지표는 부진했습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송장비 투자가 줄면서 전월 대비 14.1% 감소했습니다.

    건설기성(불변)도 20.9% 줄면서 1997년 7월 통계작성 이후로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