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단서 5년간 93명 숨져..울산미포 14건 '최다'

    작성 : 2025-09-01 07:45:18
    ▲ 유류탱크 화재 진화하는 대용량방사포 [연합뉴스]

    최근 5년간 국가산단에서 연평균 22건의 중대 사고가 발생해 모두 9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실이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최근까지 약 5년간 총 93건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망 사고가 가장 많은 공단은 울산미포산단으로 5년간 총 14명이 숨졌습니다.

    이어 경남 창원 산단(12명), 전남 여수산단(11명), 울산 온산산단(1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에는 1월부터 8월까지 13건의 사고가 발생해 11명이 사망하는 등 모두 16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바로 지난달 대불산단에서는 공장 지붕 보수 작업을 하던 작업자 1명이 10m 아래로 추락해 숨졌습니다.

    6월에는 창원 산단에서 절삭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철제봉에 머리를 부딪혀서, 5월에는 대불산단에서 근로자 1명이 지게차에 치여서, 같은 달 시화산단에서는 기계에 윤활유를 뿌리다 컨베이어 벨트에 끼여서 1명이 각각 사망했습니다.

    1월과 4월에는 전남 영암 대불산단에서 지붕을 보수하던 작업자가 각각 지상 10m, 15m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습니다.

    이를 포함해 지난 5년간 사망 사고와 부상을 모두 포함한 인명 피해는 총 173명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유발한 사고는 모두 110건으로, 연평균 22건, 월평균 약 2건 중대 사고가 발생한 셈입니다.

    발생 건수는 울산 미포산단이 18건, 경남 창원산단 14건, 전남 여수산단 11건 순으로 많았습니다.

    이 산단들은 조선, 석유화학, 철강 등 중화학·제조업 중심지로 추락이나 협착 같은 전형적 산업재해뿐 아니라 화학물질 폭발과 누출 같은 대형 사고도 반복되고 있다고 허 의원실은 분석했습니다.

    허 의원은 "국가산단은 한국 산업의 심장이지만 최근 5년간 110건의 중대 사고가 이어진 건 구조적 문제"라면서 "정부와 산단 관리기관은 화학 사고뿐 아니라 추락·협착 같은 기본 안전까지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