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의 재점화를 90일 더 미루기로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지난 5월 합의했던 90일 '관세 휴전'의 만료일에 맞춰 휴전을 추가 90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양국의 추가 관세 부과가 최소 11월 초까지 유예돼 글로벌 경기와 금융시장에 드리운 불확실성이 일단 완화될 전망입니다.
이번 연장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10월 말~11월 초, 경주 예정)를 전후해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첫 미·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서 "중국이 미국산 대두 주문을 4배로 늘리길 희망한다"고 언급하며 농산물 수입 확대를 압박했습니다.
앞서 양측은 4월 상호 관세 인상이 격화되자, 5월 제네바 1차 고위급 회담에서 추가 관세 115%포인트 중 91%포인트 취소, 24%포인트는 90일 유예에 합의했습니다.
이후 런던 2차(6월), 스웨덴 3차(7월 말~8월 초) 회담에서 유예 90일 추가 연장에 잠정 합의했고,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렸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교역·물가·공급망 불확실성 완화가 기대되지만, 구조적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추가 관세 도입을 예고한 데다, 미국의 대중(對中)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와 중국의 희토류 통제 등 전략 분야 공방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휴전이 '시간 벌기'에 그칠 수 있다며 정상회담 전후 '상쇄 딜'(농산물·에너지 구매 확대 등) 구체화 여부를 핵심 변수로 꼽습니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APEC 계기 미·중 정상회담 개최 및 공동성명 문구, 유예된 24%p 관세의 처리 방향(재연장·철회·부과), 농산물·에너지 등 실물 거래 확대 합의, 기술·안보 연계 규제의 범위와 속도입니다.
업계에선 "휴전 연장으로 숨 고르기가 가능해졌지만, '빅딜'이 없는 한 휴전의 연장전은 언제든 끝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