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방침이 발표되자 이에 반발한 캐나다와 멕시코 정부가 즉각 보복관세 방안을 내놨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1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곧바로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캐나다 각 주의 주지사들도 연방정부에 미국 정부의 불법적인 관세에 맞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더그 포트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이제 캐나다는 반격하고, 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며 "미국이 상응하는 값을 치르도록 할(dollar for dollar) 연방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주지사로서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의 주요 광물과 에너지 등 미국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이점으로 최대한 활용해 대응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는 페이스북에 성명을 올려 "이 결정은 캐나다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고, 양국 간의 중요한 관계와 동맹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이제는 주요 고객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의 정치 및 무역 관계를 전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한 뒤 "지구상 어느 나라보다 많은 천연자원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경제적 잠재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구체적인 보복 조치를 주장한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팀 휴스턴 노바스코샤주 주지사는 "노바스코샤주는 미국 기업의 주 정부 조달 입찰을 제한하고 기존 계약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관세를 이유로 입찰을 전면 제한할 수 있는 조항도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관세 발효 하루 전인 3일부터 미국산 상용차의 도로 통행료를 두 배로 올리고, 4일부터 주 정부 산하 주류 공기업의 판매 목록에서 미국산 술을 제외하도록 지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멕시코도 대통령이 직접 나서 미국에 대한 관세 보복에 나설 것임을 밝혔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1일(현지시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이유로 든 펜타닐 유입 의혹에 대해서도 반박했습니다.
멕시코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중상모략'이라 부르며, 이런 주장과 함께 멕시코 영토에 개입하려는 의도도 단호히 거부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가 펜타닐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거리 판매 금지, 불법 자금 세탁 방지, 멕시코와 같은 대규모 예방 캠페인 등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펜타닐 등 합성 오피오이드는 무차별적인 처방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멕시코는 대립은 원치 않는다며, 미국이 불법 마약 거래를 막고 싶다면 이를 위해 공중보건 및 보안팀의 실무그룹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또, 이러한 일련의 대책들이 공동 책임, 상호 신뢰, 협력, 주권에 대한 존중에 기반해야 한다며 조정은 가능하지만 종속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2-02 16:32
수업 중 여교사에 성적 발언 중학생, 징계 무효 소송걸었다 패소
2025-02-02 14:51
'2명 사망·2명 실종' 제주 어선 좌초, 기관 고장이 발단
2025-02-02 10:53
"도우미 불렀지?" 노래방 업주 협박 60대 징역형
2025-02-01 21:51
제주 어선 2척 좌초..15명 중 2명 사망·2명 실종
2025-02-01 16:46
중학생 의붓아들 폭행해 숨지게 한 계부 긴급체포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