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짜선택
    • 전남 첫 국비지원 여객선 퇴선 비상훈련 실시(모닝)
      국비지원을 받는 여객선 퇴선 비상훈련이 전남에서는 처음으로 여수에서 실시됐습니다. 여수지방 해양수산청은 여수여객선터미널에 정박한 여객선에서 화재가 난 상황을 가정해, 선원들이 승객들을 구명보트에 태우고 안전하게 탈출하는 훈련을 펼쳤습니다. 여객선 퇴선훈련에는 수 백만 원이 들어가는데 해양수산청은 국비지원을 받아 1년에 4차례씩 실시할 예정입니다.
      2015-08-21
    • 진도 전복양식섬 조성사업 10월 완료(모닝)
      진도 앞바다에 조성을 추진 중인 전복양식섬이 오는 10월말 완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진도군 전두리와 나리 일대에 150억원을 투입해 177ha 규모로 조성 중인 전복양식섬은 해마다 174톤의 전복을 생산해 70억 원 가량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15-08-21
    • 순천 농특산물, 미국서 판매(모닝)
      순천시가 매실액과 쌀과자 등 15개 품목의 지역 농특산물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과 샌디에고 등 6개 지역 '시온 마켓'에서 판매합니다. '시온 마켓'에서 판매될 농특산물은 컨테이너 2개 분량으로, 오늘 광양항을 통해 미국으로 이송됩니다.
      2015-08-21
    • 목포대서 전국 해양문화학자대회(모닝)
      해양과 해양문화를 주제로 한 전국 해양 문화학자 대회가 목포대에서 열렸습니다.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주최로 전국 2백여 명의 해양문화학자들이 참여해 모레까지 흑산도 등 전남의 섬을 공동 답사하고 연구 성과와 해양문화 연구의 쟁점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합니다. ===/ CA /================= 지금까지 전남 동서부권 소식이었습니다. 계속해서 교통정보센터 연결해서 이 시각 교통상황 알아보겠습니다. ###
      2015-08-21
    • 8/20(목)타이틀+주요뉴스
      1.('취업난' 속 학자금 소송*가압류 급증) 광주*전남 대학 학자금 대출자가 돈을 못 갚아 소송이나 가압류를 당하는 경우가 크게 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수도권보다 생활비 등의 부담이 적은 광주*전남 기업체에 취업하려는 구직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집중취재했습니다 2.(광주 계수4거리) 교통사고 전국 1위) 광주시 남구 계수4거리의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전자들의 무질서한 운전 습관과 허술한 교통 관리가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3.(전당 개관 코 앞) 주변 공간
      2015-08-20
    • R) 학자금 대출에 발목 잡힌 청년들
      【 앵커멘트 】 대학 등록금 대출에 발목 잡힌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졸업은 했지만 취업이 안돼, 빌려 쓴 학자금을 갚지 못하면서 소송을 당하는 일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28살 김 모 씨가 대학 졸업 후 취업전선에 뛰어든지도 올해로 3년째, 하지만 학생 때 빌려 쓴 등록금 중 천 만 원 상당은 아직까지 빚으로 남아있습니다. 매달 조금씩 갚고 있긴 하지만 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 모 씨 - "
      2015-08-20
    • R)집중]생활 막막.. 수도권보다 지역 취업 선호
      【 앵커멘트 】 CG> 이처럼 취업도 어렵고 학자금 대출까지 갚아야 하는 요즘 청년구직자들에게는 결혼과 출산, 주택 등을 포기한 이른바 5포 세대라는 수식어가 붙은 지 오랩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물가가 비싼 서울보다는 차라리 지역에서 취업을 하고 살아가겠다는 구직자들도 늘고 있는데, 이것도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계속해서 이계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올해 대학을 졸업하고 당구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27살 김 모 씨는 현재 친척 집에 얹혀살면서 취업을 준
      2015-08-20
    • R)광주 계수교차로..전국 교통사고 발생 1위 오명
      【 앵커멘트 】 일주일에 한번꼴로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광주 서구의 계수교차로가 전국 교통사고 1위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운전자들의 무질서한 운전 습관이 가장 큰 문제지만 도로 여건 역시 교통사고를 부채질 하고 있습니다 . 김재현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꼬리물기를 하던 차량들이 교차로 한 가운데에 그대로 멈춰서 버립니다. 다른 방향에서 신호를 받고 진행하던 차량들이 뒤엉키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광주시 서구의 계수교차로는 지난 한 해 동안에 56건의 교통사
      2015-08-20
    • R)전당 개관 코 앞, 주변 공간은 '썰렁'
      【 앵커멘트 】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의 임시 개관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전당과 연계돼 수 백억 원이 투입된 주변 사업들은 대부분 아직까지 성과를 내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 기자 】 입구는 열려있지만, 드나드는 사람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1층 안내데스크에도 안내원을 찾아볼 수 없고, 2층과 3층에 자리한 테마공간은 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2백억 원이 들여 지어진 광주복합영상문화관의 현 상황입니
      2015-08-20
    • R)허울뿐인 7대 문화권 사업....제기능 우려
      【 앵커멘트 】 남> 다음 소식입니다. 문화전당과 연계해 광주를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해 7대 문화권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요.. 여> 예산이나 부지 문제 등으로 좌초하거나 아예 시작도 하지 못한 사업들이 많은데, 문제는 정부나 광주시의 추진의지도 실종됐다는 점입니다. 정지용 기잡니다. 【 기자 】 광주 증심사 입구의 전통문화관입니다. 7대 문화권 사업 중 하나인 아시아 아트컬쳐파크 조성을 위해 건립됐습니다. 그런데 전통문화관과 함께 아트컬쳐파크의 핵심인 창
      2015-08-20
    • R)성비 불균형, 남여공학 전환
      【 앵커멘트 】 광주지역 중학교들의 남학생과 여학생 비율이 지역별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광주시교육청이 일부 사립 중학교들의 남녀 공학 전환을 유도하고 있지만 학교 측과 학부모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남학교인 광주 서강중학교가 내년부터 남녀 공학으로 전환됩니다. 개교 33년 만입니다. ▶ 인터뷰 : 하경량 광주서강중 교감 - "학생들의 통학거리, (같은 학군의) 학교마다 남녀 학생 성비 등이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2015-08-20
    • R)못 믿을 수협.."중매대금 가로채"
      【 앵커멘트 】 수협의 한 경매담당 직원이 중매인들의 수산물 판매대금을 가로채 말썽을 빚고 있습니다. 중매인들은 수협직원을 철썩같이 믿었다가 수억 원의 피해를 봤습니다. 박승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수협의 수산물 중매를 맡고 있는 오 모 씨. 지난달 수산물 거래내역을 확인하다 수협 측 자료와 자신의 자료가 맞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알고보니 수협 경매직원 김 모 씨가 수산물 판매대금을 부풀려서 청구했던 겁니다. ▶ 인터뷰 : 오 모
      2015-08-20
    • '제2의 이정현' 찾는다
      새누리당이 내년 총선에서 광주전남 교두보 확보를 위해 인재 확보에 들어갔습니다.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과 관련해 광주전남의 새로운 인물들을 만나 설득 중이고 분위기가 좋은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에서 제2의 이정현이 나오는 것은 결국 인물에 달려 있다며 정치신인뿐 아니라 거물급 인사도 앞으로 접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5-08-20
    • 지스트, 신입생 절반이 특목고*자율고 출신
      광주과기원 지스트대학의 신입생 중 절반 이상이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청구한 지역 국립대학의 신입생 출신학교 현황에 따르면 지스트는 신입생 200명 가운데 영재고와 과학고, 외국어고 등 특목고 출신이 83명, 자율고가 29명으로 전체 55%가 넘었습니다. 반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는 전체 80% 이상이 일반고 출신이었습니다.
      2015-08-20
    • 정부일정에 따라 전당 개관식 일주일 연기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의 공식 개관기념식 일정이 당초 11월 25일에서 일주일 정도 연기됩니다. 문화전당 측은 당초 25일 예정했던 공식 개관식이 정부 주요 인사들의 갑작스런 해외일정 때문에 일주일 정도 연기가 불가피하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12월 초쯤 공식 개관식이 열릴 것으로 보이는데 전당 측은 지난 7월 기자회견 때 9월 부분 개관, 11월 25일 정식개관식을 갖겠다고 공식 발표한 바 있습니다.
      2015-08-2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