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취업 청년 4명 중 3명이 한국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취업 청년들이 바라는 최소 세전 연봉은 평균 3,468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전국의 만 19∼34살 미취업 청년 5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76.4%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대체로 부족하다'가 42.6%, '매우 부족하다'가 33.8%로 나타났습니다.
'대체로 충분하다'와 '매우 충분하다'는 각각 1.2%에 그쳤습니다.
양질의 일자리가 갖출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이 31.8%로 1위에 꼽혔습니다.
이어 고용 안정성 17.9%, 일과 삶의 균형 17.4%, 직장 내 조직문화 7.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가장 우선돼야 할 정책에서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확대가 32.7% 가장 많았고, 이어 경제적 지원 강화 18.2%, 실무 기회 확대 16.0% 등입니다.
미취업 청년들이 일할 의향이 있는 최소한 세전 연봉은 평균 3,468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3천만∼4천만 원'이 39.2%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2,500만∼3천만 원'이 22.6%, '2,500만 원 미만' 20.2%, '4천만∼5천만 원' 7.2%, '1억 원 이상' 4.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중 '고등학교 졸업 이하'는 평균 3,227만 원, '대학교 졸업 이상'은 3,622만 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삶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3.86점으로 일반 청년 평균인 6.7점보다 크게 낮았습니다.
취업 예상 시기는 평균 '11.8개월 이내'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10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과거 일주일간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하지 않고 정규교육 기관에 재학 중이지 않은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38%p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