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강탈에 악취 논란까지' 골칫거리 전락한 광주 SRF

    작성 : 2025-08-14 21:18:00

    【앵커멘트 】
    생활폐기물을 고체연료로 바꾸는 SRF 시설이 광주시의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수천억 원대의 운영비용 보전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어난 데 이어 이번에는 법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악취가 검출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가연성폐기물을 연료로 바꾸는 광주 SRF 시설에 성난 주민 2백여 명이 모였습니다.

    지난 6월부터 실시한 악취 검사에서 법적 기준치를 넘는 악취가 검출된 사실이 두 달여 만에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운영사 측은 에어커튼 등 악취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주민들은 3년 전부터 악취가 이어졌다며 SRF 가동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습니다.

    ▶ 싱크 : 김재성/효천지구1,2지구 협의체
    - "법과 시설물이 갖춰진 상태에서 진행돼야지 친환경 보여주기 식으로 지어가지고, 저희가 2031년까지 지금 고통을 받아야 되는 이런 상황을 안 만들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광주시와 남구청 모두 SRF 가동 중단을 검토하겠다며 주민들을 달래긴 했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이미 오는 2032년까지 운영 계약을 맺은 만큼 가동을 중단할 경우 광주시가 이에 따른 손해를 보상해 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앞서 SRF를 운영하는 청정빛고을의 대표사 포스코이앤씨는 나주 SRF열병합발전소의 가동 중단으로 인한 매출 감소와 운영비 손실을 근거로 광주시에 2,100억 원의 손실 보상을 요구했습니다.

    지난 5일 광주시와 포스코이앤씨가 극적으로 상호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악취로 SRF 제조 시설의 가동이 중단될 경우 다시 운영비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남아있습니다.

    ▶ 싱크 : 강기정/광주광역시장
    - "31년까지 협약(해지)의 귀책사유가 시에 있다고 판단이 되면 31년까지 이 모든 비용을 다 시에서 청정(빛고을)에 내놓도록 돼있습니다."

    오는 2030년 쓰레기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는 만큼 하루 5백 톤에 달하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SRF제조 시설을 쉽사리 포기할 수 없는 광주시.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운영비 논란에 악취로 인한 주민 반발까지 더해지면서 SRF가 광주시의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