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1년 만에 안보리 재진입 도전..3번째 선출되나

    작성 : 2023-06-06 08:26:38
    ▲북한 정찰위성 발사 문제 논의하는 유엔 안보리 회의 사진 : 연합뉴스

    한국이 11년 만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일원으로 재진입할 지 여부가 6일(현지시간) 결정됩니다.

    유엔총회는 이날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11시)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2024∼20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를 치를 예정입니다.

    이번 선거는 아태 지역에서 1개국, 아프리카에서 2개국, 중남미에서 1개국, 동유럽에서 1개국을 각각 뽑습니다.

    우리나라는 아태그룹의 단독 후보로 나섭니다.

    경쟁 상대는 없지만, 투표에 참여하는 회원국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내년 1월부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현재 투표권을 가진 192개 회원국이 모두 출석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128표를 얻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1차 투표에서 필요한 표를 얻지 못하면 3분의 2 이상을 득표할 때까지 무제한 반복 투표를 진행합니다.

    1차 투표에서 선출이 확정될 경우 한국시간 자정 직후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엔 아태그룹의 인준을 받은 유일한 후보인 만큼 한국의 당선은 매우 유력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일각에선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갈등, 북핵 문제로 서방 대 중국·러시아의 분열 구도가 심각하다는 점에서 한국이 압도적인 몰표를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나옵니다.

    북한과 친북 성향 국가들이라는 '고정 반대표'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이 당선되면 유엔 가입 5년 만인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 임기가 됩니다.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책임지는 가장 강력한 유엔 기구인 안보리에 30년 동안 세 번이나 진출한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의 높아진 위상을 반영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와 함께 내년에는 상임이사국인 미국, 2023∼2024년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함께 한미일이 안보리에서 삼각공조를 펼칠 수 있게 됩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