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토종 참김의 신품종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종자를 확보하고, 지난해엔 종자 배양 기술을 확립했다고 전했습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인 신품종 개발을 위한 시험 양식 및 선발육종에 나섰습니다.
오는 2028년까지 양식 대상종으로의 복원 및 신품종 개발이 기대됩니다.
토종 참김은 조선 인조시대 광양군(현 전남 광양시) 태인도에서 최초로 양식된 품종입니다.
인조 임금의 수라상에 진상되면서 참김의 고소하고 바삭한 맛을 인정받았고, 당시 김 씨가 양식을 해 '김'이라 불리게 됐다고 전해집니다.
전남도 기념물 제113호인 '광양김시식지'의 '김 시식지 유래비'에 따르면 김여익은 김여준과 함께 병자호란 때 의병을 지휘해 청주까지 북상하다가 조선과 청의 화의가 이뤄졌다는 소식을 접하고 1640년 광양에 정착해 살면서 김을 양식하며 살았다고 합니다.
참김은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예로부터 양식한 주요 품종이었으나, 20년 전부터 환경적 요인에 의해 자원이 줄면서 자연 암반에서 찾기도 어려워졌습니다.
성장은 다소 느리지만 김의 맛을 결정하는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높고 맛이 뛰어납니다.
품질을 우선시하는 최근 소비 흐름에 맞는 최고급 브랜드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현재 참김 엽체에서 과포자(씨앗)를 방출시켜 패각사상체 및 유리사상체로의 분리 배양에 성공했고, 종자 배양 조건 및 기술도 확보했습니다.
올가을부터 토종 참김 시험 양식을 통해 양식 가능성, 품질 및 내병성, 수익성 등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예정이며, 선발육종을 통한 신품종 개발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향후 김 양식 어가에 품종을 보급해 400년 전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던 역사적 스토리를 간직한 토종 참김의 맛을 국민에게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