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중한 업무와 책임에 비해 수당이나 혜택이 적은 점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15일 김유리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연구위원, 이상철 부산교육연구소 소장, 송영미 서울 삼일초 교장은 '보직교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초등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에서 초등학교 교원 5,3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직교사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6월 16~21일 서울 시내 초등학교 교장 309명, 교감 405명, 보직교사 2,317명, 일반교사 2,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보직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2024학년도 보직교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78.8%는 '없다'고 답했습니다.
보직교사를 희망하지 않는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세 가지 고르도록 한 결과, 72.7%가 '과중한 업무와 책임'을 꼽았습니다.
이어 '낮은 처우(보직 수당, 혜택 등)'(63.0%),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희망'(31.7%) 순이었습니다.
보직교사를 희망하는 응답자에게도 이유 세 가지를 조사한 결과 40.5%가 '승진 가산점 및 교육 전문직원 선발 시험 가산점'이라고 답했습니다.
'업무 수행 보람과 학교에 기여'(38.8%), '보직 수당 및 성과 상여금'(23.6%)이 뒤를 이었습니다.
'거절의 어려움' 때문에 보직교사를 맡는다는 응답도 14.8%로 조사됐습니다.
보직교사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전체 조사 대상 교원 중 76.9%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관리자인 교장(98.1%), 교감(98.3%)에 비해 보직교사(77.6%)나 일반교사(69.8%)들은 필요성에 공감하는 비중에 낮았습니다.
연구팀은 이같은 인식 차가 보직교사를 실제 맡아야 하는 보직·일반교사가 보직교사 업무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보직교사 보직을 선호할 수 있는 방안(복수 응답)에 대해서는 전체 교원 응답자 중 가장 많은 92.5%가 '보직 수당 인상'을 꼽았습니다.
2위는 '업무 간소화'(공문 대폭 축소·44.5%), 3위는 '전보 시 우대'(32.5%)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보직교사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보직교사 전보 우대 정책이 필요하다"며 "학교 구성원 간 협의를 통해 학교 업무를 과감히 정리하고 교육 활동 외 행정업무를 경감하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부장교사 #보직교사 #초등교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