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도심 주택가 한가운데 폐가가 늘면서
흉물로 남아 있는 곳이 한 두군데가 아닙니다.
일부 행정기관이 집을 허물어 공공부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하고는 있지만, 이런 저런
이유들로 여전히 방치되고 있습니다.
신민지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폐가 안쪽에
각종 생활 폐기물과 오물이 가득합니다.
인근 대학이 관사로 쓰다가 방치하면서
이웃 주민들은 해마다 이맘때면
악취와 해충으로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임옥란 / 광주 동명동
- "청소를 하러와도 여름엔 냄새가 나요..집이..주위에서 문도 못 열고 있고. 네다섯 차례 가서 말해도 콧방귀를 뀌고 연락이 안 와 버려요."
주민들의 지속적인 정비 요구에도
해당 대학 측은
당장 수익이 안 난다며 미루고만 있습니다.
▶ 싱크 : 조선대학교 감사관제팀
- "이사회에서는 (관사를) 왜 파느냐, 팔아봤자 돈도 안 되는데..재개발예정지역이기에 공식 지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고 하거든요."
광주시내 한 재개발 예정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빈 집과 폐가가
한 집 건너 하나 꼴로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마저 감돕니다.
▶ 인터뷰 : 문정식 / 광주시 송정동
- "동네 미관상 아주 안 좋고 정말 보기 싫어요. 흉물이잖아요. (밤에) 여자분들이 지나가면 가로등이 켜져 있어도 무섭다고 합니다."
지자체의 공*폐가 활용 대책은
사실상 유명무실합니다.
집 주인의 동의를 받아야 철거 뒤
텃밭과 주차장 조성 등
공공부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c.g.)
하지만 광주의 공*폐가 2천 백 37채 중
약 94%의 집주인이
동의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신민지
- "철거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폐가들은 지자체의 정비 대상에서도 빠져 동네의 온갖 폐기물들이 모이는 방치구역이 된 지 오랩니다."
▶ 인터뷰 : 김기진 / 광주 동구청 공동주택관리계장
- "재개발 구역 내에선 빈집도 나중에 보상 대상이 되기 때문에 보상받기 위해 주민들이 동의를 안해주는 사유가 주로 많습니다. 주차장이나 텃밭으로 제공 동의를 했을 때는 바로 사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도심 속 흉물, 공*폐가의 집주인들이
소소한 이익을 쫓으면서
애꿎은 이웃 주민들만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kbc 신민집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