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장애인 주차구역에 일반인 차를 주차했다가는
과태료 10만 원을 물어야 하는데요.
누가 단속하겠어, 이렇게 생각하셨가는
큰코 다칠 수가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신고가 가능해져
신고하는 경우가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입니다.
이준호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공공기관 주차장에 있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일반 차량이 버젓이 주차돼 있습니다.
주차한 이유를 물었더니, 차량 주인은 화부터 냅니다.
▶ 싱크 : 장애인 구역 불법 주차 차주
- "나는 원래 여기다 안 세워요 차 두 대 가지고 있지만 저 주차위반 해본 적도 없어요 살면서"
아파트 같은 주차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장애인 주차면이 주민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광주 남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장애인 주차면 위반으로 9개월동안 무려 5백 44건이나 신고가 됐습니다.
특히 주민 김모씨는 혼자서 200회 이상을
신고를 했습니다.
▶ 싱크 : 200회 이상 신고자
- "개념이 없죠 엘리베이터에 유인물을 붙여 관리를 하는데도 지켜지지 않아요 그러니까 시비가 붙죠.."
주차 문제로 입주민간 갈등이 빚어지면서
신고가 경쟁적으로 이뤄진 것입니다.
▶ 스탠딩 : 이준호
- "지난해 5월부터 입주가 시작된 이 아파트의 불법 주차 신고 건수는 광주 남구청 전체 신고의 5분의 1에 달합니다"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위반 신고 건수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광주에서만 2만여 건의 신고가
접수됐는데 이는 3년 전보다 4배 가까이 늘어난 수칩니다.
시민의식이 높아진 데다 위반 장면을 찍기만
하면 신고가 되는 '생활불편 신고 모바일앱'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인터뷰 : 김찬 / 광주 남구청 장애인복지팀
- "동영상이나 (사진) 한 장만 있으면 바로 저희가 상황을 구분하기 쉽기 때문에 폭발적으로 (신고가) 증가한 것 같습니다."
지난해 광주에서 장애인 주차 구역에
불법주차했다가 적발된 얌체족들이 낸
과태료는 모두 16억원에 이릅니다. kbc 이준홉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