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악개발 규제를 완화하기로 하면서, 지리산과 월출산 케이블카 설치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단체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사업성 문제가 여전히 논란거립니다. 이동근 기잡니다.
규제완화를 통한 경제성장을 과제로 내건
정부가 최근 관광산업 육성 대책의 하나로산지관광 특구제도를 도입합니다.
국립공원과 환경 법규 등에 묶여 개발이
제한된 산악지대의 규제를 풀어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의집니다.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은 환경훼손 등을
이유로 제한됐던 케이블카 설치 사업의
지원입니다.
설악산과 남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방안이 정부 차원에서 시작됐고 경상남도도 지리산권인 함양과 산청 등의 산지관광특구 지정과 케이블카 설치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올해하고 내년초까지 해서 문제점이 뭔지를 좀 찾아보고 제도 개선이 뭐가 있는지를 도출하려고 합니다"
그동안 전남은 월출산권인 영암과
지리산권인 구례가 케이블카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영암은 지난 2009년부터 주민추진위원회를
꾸려 2.14km 규모의 케이블카 설치를
숙원사업으로 요청해 왔습니다.
호남의 소금강으로 불리는 월출산의
기암괴석을 볼 수 있어 경쟁력을 갖춘데다 케이블카 설치 시 노약자와 장애인 등의
탐방객 급증으로 경제효과도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영일/영암군 문화관광실장
"
2년 전 케이블카가 조건부로 부결됐던
구례군도 다시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지리산 온천 지구에서 노고단 인근을 잇는
4.3km 구간 계획을 일부 수정하고
재 추진에 나섰습니다.
영암과 구례가 케이블카 설치 대상으로
유력하지만 전북 남원과 경남 산청 등
지리산권에만 3개 광역자치단체가 얽혀있어
대상지 선정에 정치적 논리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다음달부터 T/F를 구성해 환경부와 국립공원사무소 등과 함께 규제완화 방안과 대상지 검토에 들어가 연말부터 본격적인 사업 시행에 들어갈 방침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환경단체가 케이블카를
산림판 4대강 사업으로 규정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데다 기존 케이블카들의
사례처럼 적자를 낳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