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미크론 대유행과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국내 경제성장률의 추가 하향 전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지난해 말 발표했던 2.9%에서 2.5%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한경연은 8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경제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최근까지 이어진 오미크론 확산 등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이유로 분석했습니다.
또 중국의 경기 둔화로 수출 성장세까지 꺾이고 있는 점도 배경으로 꼽았습니다.
민간소비는 3.0%에 미치지 못하는 2.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는데 지난해의 3.6%보다 0.8%p나 낮은 수치입니다.
설비 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8.3%에서 6.2%p 대폭 낮아진 2.1%로 전망됐습니다.
건설 투자는 공공 재개발 등 정부 주도 건설 증가에도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 차질이 빚어지면서 1.0%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수급 불균형 영향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2.5%보다 1.3%p 오른 3.8%로 전망됐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