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짜선택
    • 자치단체 금고 선정 둘러싸고 잡음 잇따라
      자치단체 금고를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광주 광산구금고 선정 심의위원 명단 유출사건을 수사하는 경찰이 오늘(22일) 오전 광주 광산구청과 국민은행ㆍ농협ㆍ광주은행 지점 등을 압수수색 했습니다. 광주 남구금고 선정에서 탈락한 광주은행은 국민은행이 이사회 승인도 없이 제안서에 협력사업비 25억 원을 무리하게 써냈다며, 광주지법에 가처분 신청을 접수했습니다.
      2018-11-22
    • 신종 인터넷 사기 '로맨스 스캠' 잇따라
      신종 인터넷 사기 이른바 '로맨스 스캠'이 잇따르고 있다며,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광주 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3일 광주의 한 은행 직원이 SNS를 통해 알고 지내온 남성에게 현금 3천만 원을 송금하려던 50대 여성을 만류한 뒤 인터넷 사기가 의심된다며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로맨스 스캠'은 SNS를 통해 친분을 쌓은 뒤 교제나 결혼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신종 사기이며, 지난 8월 울산에서는 한 여성이 로맨스 스캠 피해를 당해 현금 수천만 원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2018-11-22
    • 신종 인터넷 사기 '로맨스 스캠' 잇따라
      신종 인터넷 사기 이른바 '로맨스 스캠'이 잇따르고 있다며,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광주 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3일 광주의 한 은행 직원이 SNS를 통해 알고 지내온 남성에게 현금 3천만 원을 송금하려던 50대 여성을 만류한 뒤 인터넷 사기가 의심된다며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로맨스 스캠'은 SNS를 통해 친분을 쌓은 뒤 교제나 결혼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신종 사기이며, 지난 8월 울산에서는 한 여성이 로맨스 스캠 피해를 당해 현금 수천만 원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2018-11-22
    • 원안위, 한빛원전 5호기 재가동 승인
      정기검사를 위해 멈춰섰던 한빛원전 5호기가 재가동됩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구조물 공극 점검 등 86개 항목의 안전 검사를 위해 지난 9월부터 가동을 정지한 한빛원전 5호기에 대해 재가동을 승인했습니다. 원안위는 5호기의 출력 과정에서 9가지 항목을 추가로 검사한 뒤 정기검사를 마칠 계획입니다.
      2018-11-22
    • 이용섭 시장, 공공기관장 회의서 "혁신 성과" 강조
      이용섭 광주시장이 공공기관장 회의에서 "혁신의 성과를 내야 만 함께 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용섭 시장은 "시대가 엄중하고, 광주 상황이 어렵다"며 "임기는 보장될 것이라는 생각은 버리고 성과로 당당하게 평가받겠다는 각오를 다져주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이용섭 시장은 다소 느슨해 질 수 있는 연말연시를 맞아 공공기관과 함께 광주시청의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혁신 성과"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2018-11-22
    • 전남 공공기관*유관단체 채용비리 전수조사 실시
      전남의 공공기관과 공직 유관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채용 비리 전수조사가 실시됩니다. 전라남도는 중앙정부 공공기관 채용 비리 조사단과 함께 산하 22개 지방 공공기관과 공직 유관단체를 대상으로 채용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은 2017년 10월 1일 이후 모든 신규 채용자와 2014년 이후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입니다.
      2018-11-22
    • 중간고사 시험지 유출 고교생 5명 입건
      지난달 목포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시험지 유출 사건과 관련해 학생 5명이 입건됐습니다. 목포경찰서는 지난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교사 연구실에 들어가 영어시험 파일을 무단으로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전송해 시험지를 유출한 혐의로 학생 5명을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경찰은 시험 문제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교사가 개입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였지만 특이점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2018-11-22
    • 보이스피싱 수법 진화...올해 광주 피해액 28억 원
      올해 광주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8억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지방경찰청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광주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보다 3% 늘어난 166건이 발생했으며, 그 피해액도 28억 2천만 원이었습니다. 경찰은 최근 특정 앱이나 원격조정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등 보이스피싱 수법이 진화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2018-11-22
    • 보이스피싱 수법 진화...올해 광주 피해액 28억 원
      올해 광주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8억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지방경찰청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광주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보다 3% 늘어난 166건이 발생했으며, 그 피해액도 28억 2천만 원이었습니다. 경찰은 최근 특정 앱이나 원격조정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등 보이스피싱 수법이 진화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2018-11-22
    • 최규성 농어촌공사 사장 태양광 업체 대표 이력 논란
      최규성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이 취임 전 태양광 업체 대표를 맡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농어촌공사 등에 따르면 3선 국회의원 출신인 최규성 사장이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전기절약기 판매와 태양광 발전 업체 대표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전국 저수지에 7조 5천억 원 규모의 수상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공사의 수장을 맡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최규성 사장은 해당 업체는 설립 이후 지금까지 매출액이 3천만 원에 불과하고 태양광 발전 사업 실적은 없는데다
      2018-11-22
    • 최규성 농어촌공사 사장 태양광 업체 대표 이력 논란
      최규성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이 취임 전 태양광 업체 대표를 맡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농어촌공사 등에 따르면 3선 국회의원 출신인 최규성 사장이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전기절약기 판매와 태양광 발전 업체 대표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전국 저수지에 7조 5천억 원 규모의 수상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공사의 수장을 맡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최규성 사장은 해당 업체는 설립 이후 지금까지 매출액이 3천만 원에 불과하고 태양광 발전 사업 실적은 없는데다
      2018-11-22
    • 정부 비축미 방출 항의...농민 5백 명 국회 앞 시위
      쌀 수확기에 정부 비축미를 방출한 데 대해 농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국농민회 소속 농민 5백 명은 국회 앞에서 집회를 갖고, 쌀 수확기에 정부가 재고미 5만 톤을 방출하고, 쌀 목표가격을 막대사탕과 껌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밥 한 공기 당 245원으로 정한데 대해 항의했습니다. 농민들은 민주당 앞에서 항의 농성을 이어간 뒤 다음 달 1일 국회 앞에서 농민 5천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농민 시위를 벌일 예정입니다.
      2018-11-22
    • 남자 친구와 다툰 뒤 홧김에 고시텔 방화
      고시텔과 주택 등에서 화재가 잇따랐습니다. 오늘 아침 7시 20분쯤 광주 용봉동의 한 고시텔 1층에서 불이 나 20살 백 모 씨가 연기를 마셔 병원으로 옮겨지고 입주자 10여 명이 대피했습니다. 경찰은 백 씨가 남자친구와 다툰 뒤 홧김에 불을 지른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 오전 8시 10분쯤엔 광주 중흥동의 한 주택에서 불이 나 소방서 추산 천백만 원의 재산피해를 낸 뒤 30여 분 만에 꺼졌습니다.
      2018-11-22
    • 시민단체, 어린이집 감사정보 비공개 처분 취소소송 제기
      어린이집 감사정보를 공개하지 않기로 한 광주 5개 구청에 대해 시민단체가 처분을 취소하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어린이집 감사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무시하고, 감사행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것이라며, 광주 5개 구청장을 상대로 비공개 처분 취소소송 소장을 접수했습니다. 시민모임은 2015년부터 올해까지 어린이집 감사계획서와 결과서, 이행결과서를 실명 공개하라고 요청했지만, 5개 구청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2018-11-22
    • 시민단체, 어린이집 감사정보 비공개 처분 취소소송 제기
      어린이집 감사정보를 공개하지 않기로 한 광주 5개 구청에 대해 시민단체가 처분을 취소하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어린이집 감사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무시하고, 감사행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것이라며, 광주 5개 구청장을 상대로 비공개 처분 취소소송 소장을 접수했습니다. 시민모임은 2015년부터 올해까지 어린이집 감사계획서와 결과서, 이행결과서를 실명 공개하라고 요청했지만, 5개 구청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2018-11-22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