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bc/image/2025/02/13/kbc202502130096.800x.0.jpg)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바꾸자 주변 상권 평균 매출이 3.1% 상승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은 13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데이터(2022년~2023년)를 활용해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의 평일 전환 효과를 분석한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기간 대구광역시와 충북 청주시에서는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바뀌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대형마트 주말 영업이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 효과를 가져왔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절대적인 매출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구와 청주 지역 내 대형마트가 없는 행정동과 비교한 상대적 변화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업종별 효과를 보면 요식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출 증가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대형마트 주말 영업으로 요식업 매출은 3.1% 가량 증가했습니다.
연구원은 "주말 대형마트 영업으로 유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요식업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며 "반면 유통업과 쇼핑 관련 사업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청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제적 효과는 없었습니다.
연구원은 대구와 같은 특별·광역시 지역에서는 유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일부 업종에서 매출이 늘어날 수 있지만, 청주처럼 주변 상권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제적 효과가 미미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또 "우려와는 달리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했을 때 주변 상권의 매출 감소 효과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규모 유통점들이 다양한 외식·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을 입점시켜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기 때문에 전통 상권과 대형마트가 복합 상권을 형성한다면 대형마트에 물건을 사러 온 소비자들이 주변 볼거리와 외식 등 재미를 함께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