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최진녕 변호사는 이날 KBC 라디오 '박영환의 시사1번지'에서 "(김 대표가) 당권과 국회의원 2개를 갖고 둘 다 포기하는 것이 1안이고 둘 다 갖고 가는 안이 있을 테고 아니면 당권은 갖고 가지만 총선은 불출마한다, 혹은 당은 포기하지만 내년 금뱃지는 그대로 하겠다, 이런 선택지가 있는 것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최 변호사는 "다만 현재에 나오는 여러 가지 안 중에 가장 유력한 안은 당권은 포기한다, 대신에 울산에서 울산이 국민의 힘으로서는 좋은 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험지에 출마를 해서 부울경에서 울산 지역의 하나의 밀알이 되겠다, 이런 식의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대표가) 빠르면 내일 오전에 있을 최고회의에서 본인의 거취에 관한 결단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핵심은 어쨌든 당권에 대한 버림, 그와 동시에 본인 또한 이 혁신의 불씨가 되겠다,라고 하는 그런 선언을 할 가능성 현재로서는 상당히 높은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조상호 민주당 법률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른바 여당 중진들은 다 밀려날 것"이라며 "다 밀려날 건데 김기현 대표 본인도 결국에는 불출마 선택을 할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그렇지만 선거 자체는 김기현 대표 체제로 치르는 거 아니냐"고 주장했습니다.
조 부위원장은 "국민의힘 같은 경우는 당원 당규의 어떤 특별한 시스템 자체를 갖다가 미리 딱 이렇게 규정으로 정해놓지는 않았기 때문에 결국에는 공관위원장이 들어와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구조"라며 "공관위원장이 누가 선임되느냐에 따라 결국에는 당의 공천이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인가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 대표가 꼭 누구냐 이거는 별로 중요한 의미라고 보지는 않았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러면서 "용산 입장에서도 사실은 김기현 대표 체제를 두고 그 체제 하에서 공관위원장을 중심으로 해서 용산에서 입맛에 맞는 이른바 검찰 출신이라든가 아니면 대통령과 오랫동안 함께 해왔던 그런 역사를 같이 해왔던 사람들 중심으로 공천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리를 비워줘야 되기 때문에 어차피 여당 중진에 밀려나게 되어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이어 "장제원 의원의 이번 불출마 선언은 전혀 새로울 게 없다"면서 "이른바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오니까 납작 엎드리는 상황이 된 것이다. 지금 검찰 정치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영환의시사1번지 #장제원 #국민의힘 #불출마 #험지 #김기현 #윤석열 #친윤 #대통령 #더불어민주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