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COP총회로 불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유치를 위해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정부가 국제사회에 유치 의사를 공식화한 가운데, 전라남도는 개최국 확정 이전에 국내 유치지역을 먼저 선정해 경쟁력을 키울 것을 요창하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기후변화협약 이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열리는 당사국 총회.
전 세계 200여 개 국가에서 2만여 명이 참석하는데,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과 함께 경제적 파급효과가 3000억 원에 달합니다.
정부가 제28차 당사국 총회, 이른바 COP28 유치를 국제사회에 공식화 했습니다.
▶ 싱크 : (지난 5월 30일,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 "한국은 2023년 제28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유치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공동 유치에 나선 전남ㆍ경남을 비롯해 경기 고양과 인천, 제주, 부산 등 5개 시도가 유치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전남과 경남은 남해안 남중권 12개 시군이 여수를 중심으로 공동 유치에 합의하고 일찌감치 유치전에 뛰어 들었습니다.
해양과 내륙, 산악 등의 기후 특성과 석유화학
ㆍ철강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공존해 있어 기후변화 국제회의 취지에 가장 잘맞는다는 평입니다.
세계박람회 개최 경험과 박람회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남해안 시군의 화합과 균형발전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전라남도는 국내 유치지역을 먼저 결정할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 등의 정치적 요인이 있는데다, 개최 도시 경쟁력과 국제행사 개최를 위해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윤병태 / 전남도 정무부지사
- "남해안 남중권은 지난 2008년부터 동서포럼을 통해서 꾸준히 준비해 왔습니다. 그런 준비된 도시의 면모를 당사국 총회에서 보여 주는 것이 우리나라로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서울과 경북, 강원 등 10개 시도의 지지도 얻어낸 상황, 남은 기간 기후변화 대응계획과 차별화된 유치 전략 발굴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