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거닐던 숲길에 소방관이 나타난 이유는?”..‘왕의 숲길 걷기’ 초청

    작성 : 2023-10-24 13:45:02
    사회적 배려 대상자 참여 문화행사
    소방관·사회복지사·노인요양봉사자
    미공개였던 청심정·빙옥지 현장 개방
    설문조사·모니터링 거쳐 일반 공개
    ▲ 창덕궁 후원 주합루 숲 전경 사진 : 문화재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오는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세계유산 창덕궁 후원 숲길(1.8km)을 특별 개방하는 ‘2023년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는 공공의 질서유지와 복리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소방관, 사회복지사, 노인요양 자원봉사자(11.1.~2.)와 사회적 배려 대상자(11.3.) 총 60명을 초청해 진행합니다.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은 남쪽으로 뻗은 북악의 매봉 자락에 그 터를 잡고 자연의 지세를 그대로 따라 지은 정자와 울창한 숲이 위치한 궁궐의 뒷동산입니다.

    개방 시간은 11월1일(수)∼3일(금), 오전 9시 30분∼11시(회당 20명씩)입니다.

    창덕궁 후원의 숲길은 조선시대 여러 임금과 신하들이 나랏일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기 위해 자연과 호흡하며 거닐었던 치유의 공간입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문화유산 해설사에게 ‘정조의 주합루 숲길, 효명세자의 연경당 숲길, 정조와 순조의 청심정 숲길’에 대해 서열을 들을 수 있습니다.

    또 ‘동궐도에 그려진 나무 이야기’, ‘숲이 주는 탄소 저감, 치유 기능’ 등 창덕궁 후원의 역사와 함께 숲에 대한 설명을 듣고, 청심정에서 명상과 다과를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청심정(淸心亭)과 빙옥지(氷玉池)도 볼 수 있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청심정(淸心亭)’은 숙종 14년(1688) 창덕궁 후원에 세워진 작은 정자로 비가 갠 저녁 달과 같이 맑은 마음(淸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빙옥지(氷玉池)’는 티 없이 맑은 연못이라는 뜻으로 돌거북이 양각되어 있습니다.

    ‘동궐도(東闕圖)’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으로, 1828∼3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약 3천 여 그루의 나무와 함께 수많은 건물이 그려져 있는 조감도식 궁궐 배치도입니다.

    참가자에게는 기념품으로 창덕궁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사진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유산 해설사와 함께하는 창덕궁’ 책자, 친환경 세면 꾸러미(세트), 청심정과 함께 찍은 즉석카메라(폴라로이드) 사진 등이 제공됩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단풍이 가득한 창덕궁 숲에서의 이번 초청행사가 국가와 사회에 공헌하고 있는 참가자들과 사회적 배려 대상자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휴식의 시간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 이후 설문조사와 점검(모니터링)등을 거쳐 향후 일반 관람객에게도 숲길 개방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비공개 구간이었던 ‘청심정’을 개방하여 국가유산의 향유기회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적극행정의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왕 #임금 #창덕궁 #후원 #왕의숲길 #궁궐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