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가 최근 급격히 확산한 벼의 깨씨무늬병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해 줄 것을 농림축산식품부에 거듭 건의했습니다.
깨씨무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과 양분 부족 등으로 벼의 잎, 줄기 등에 흑갈색의 깨씨같은 무늬가 생겨 등숙 불량과 생산량 감소를 유발합니다.
전남도 자체조사 결과, 9월 말 현재 깨씨무늬병 발생 면적은 1만ha(잠정)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배, 평년보다 2.3배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강형석 차관에게 최근 1개월간 기상 분석과 현장 의견, 관련 연구자료 등을 토대로 재해 인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벼 수확 전 농업재해 인정 △깨씨무늬병 피해 벼 전량 매입을 건의했습니다.
면담에 함께 참석한 신정옥 (사)한국쌀전업농 전남도회장은 "올해 적기 방제했음에도 이상고온으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라며 "과거 깨씨무늬병이 감기 수준이라면, 올해는 코로나급 피해로 커져서 정부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강형석 차관은 "농업재해 인정 여부 검토를 위해 방제 실적과 시기별 피해 확산 동향 등을 제출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전남도는 급격히 확산하는 깨씨무늬병 피해를 농업재해로 조속히 인정해 줄 것을 9월 말 전국 최초로 농식품부에 건의했으며, 정부에서도 깨씨무늬병의 농업재해 인정 여부 검토를 위한 정밀 조사에 착수한다고 1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