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해 기온이 상승하면 바다의 68%가 연중 폭염에 노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 연구팀은 21일 국제학술지 '지구의 미래'(Earth's Future) 최신호에 실린 논문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연구진은 2100년 탄소 배출량이 지금의 두 배가 되는 고탄소 시나리오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저탄소 시나리오(SSP1-1.9)에 따른 평균 해수면 온도 변화를 비교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071∼2100년 평균 해수면 온도는 1985∼2014년 평균 대비 최대 2.70도 상승했습니다.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세기말 해수면 온도 상승 폭이 0.53∼0.61도로 줄었으며, 특히 2050년대 이후에는 해수면 온도가 거의 오르지 않았습니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면 해양열파 현상이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다의 폭염'이라 불리는 해양열파는 닷새 이상 평년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해수면 온도를 기록하는 현상입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않으면 해양열파 지속 기간이 길어질 전망입니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전 세계 바다의 68%가 일 년 내내 해양열파에 노출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대양별로 보면 인도양은 93%, 태평양은 76%, 대서양은 68%가 영구적인 해양열파에 영향받게 됩니다.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이 비율이 0.02∼0.07%로 줄어들었습니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해양열파 지속 기간이 길다 보니 발생 빈도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오히려 더 높았습니다.
현재는 1년에 1∼3회 발생하는 해양열파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12회 잦아지고,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고탄소 시나리오보다도 2∼6회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열파 강도는 고탄소 시나리오와 비교할 때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1도가량 낮았습니다.
조양기 교수는 "바다는 비열이 크고 밀도가 높아서 대기보다 1천 배 많은 열을 함유한다"며 "실제로 지구에서 열이 얼마나 오르내릴지를 결정하는 것은 바닷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후는 경제보다 훨씬 긴 기간에 걸쳐 인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탄소중립을 특정 국가만 노력한다고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만큼 국가 간 협력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4-11-22 07:31
조리원서 장애 있던 신생아 숨져..30대 부부 입건
2024-11-21 22:26
'직무유기·비밀누설' 전 광주청 수사관 2심도 3년 구형
2024-11-21 21:29
"또 빠져?" 철제 이음장치 나뒹군 어등대교..시민 불안 가중
2024-11-21 21:20
입소 사흘째 훈련병 구보하다 쓰러져 사망
2024-11-21 21:17
라오스서 메탄올 섞인 술 마신 관광객 4명 숨져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