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발표한 연구보고서 '자립준비 청년의 복지제도 이용 유형화를 통한 효과적인 지원방안 마련'에 따르면, 2017~2021년 사이 보호가 종료된 청년은 1만 2,282명이었습니다.
이들 중 지속적으로 연락이 닿는 경우는 16%뿐이었으며, 간헐적으로 연락이 되는 경우는 63%, 한 번만 연락이 된 사례는 17%였습니다.
남은 4%의 경우 연락이 두절된 상태였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의 94%는 정부와 지자체의 복지제도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남은 6%는 이러한 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상황이었습니다.
연락이 두절된 4%에 속하면서, 또 동시에 복지제도도 이용하지 않는 6% 집단에 들어있는 사례를 살펴보니, 70명이 여기에 해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사 대상 기간 사망한 자립준비청년은 24명이었는데, 연락두절 비율은 사망한 청년이 그렇지 않은 청년보다 4배나 높았습니다.
또 사망자 모두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연구책임자인 김지선 사회보장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이 70명은 자립준비 청년 중 가장 취약한 집단일 수 있다"며 "통합관리기구를 만들고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사각지대 발굴과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보고서를 정밀 분석한 뒤 실제로 연락이 안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안부를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 #통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