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은 오늘(29일)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남한 고해상도 기후 변화 시나리오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지역별 기후변화 전망을 공개했습니다.
전망에 따르면 온실가스가 현재 수준으로 배출될 경우(SSP5-8.5·고탄소시나리오) 2081년~2100년 사이에 광주와 부산, 대구, 울산,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등 8개 시도의 연간 겨울일수가 0일이 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기상학적으로 '겨울'은 일평균 기온이 영상 5도 미만으로 떨어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았을 때를 시작 첫날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최근 30년(1991년~2020년)의 겨울 일수는 연평균 87일로, 10년 전(1981년~2010년)의 연평균 겨울 일수인 94일보다 7일이 짧아졌습니다.
겨울이 사라진 지역이 대폭 늘면서 한파의 개념도 사실상 사라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겨울이 사라진 대신 여름 일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이번 세기말이 되면 제주의 경우 1년 중 211일(약 60%)이 여름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국적으로 지금보다 연간 여름 일수가 82일이나 길어지면서 강원도의 여름 일수도 현재의 2배 수준인 163일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폭염과 열대야도 빈번해져 현재 4.8일~32.4일인 연간 폭염 일수는 69.1일~120.1일로 증가하겠고 열대야 일수는 현재 2.2일~22.5일에서 55.2일~103.3일까지 늘겠습니다.
기상청은 온실가스를 감축해 207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고 해도 기온 상승과 여름 일수 증가, 겨울 일수 축소 등의 현상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도 내다봤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