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잇단 사학 비리에 시민사회의 개혁 요구가 거세지만, 정작 사립학교 법인들은 꿈쩍도 않고 있습니다.
자정안을 내놨지만, 교사 채용 위탁전형에 대해서는 자율성이 훼손된다며 거부해, 형식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최근 광주 한 사립학고 법인 이사장과 행정실장 등 3명이 교사 채용 비리로 구속됐습니다.
교사 채용 댓가로 7억여 원을 받아 챙긴 혐의입니다.
지역사회 여론이 들끓자 광주시내 26개 사학 법인들이 긴급 모임을 갖고 성명을 냈습니다.
하지만 인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반 법령을 잘 지키겠다는 내용만 반복해 말뿐인 자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결국, 시민사회단체들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사학들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 싱크 : 임진희 사학비리척결 광주시민대책위원회
- "신뢰관계가 소멸한 교육기관에서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가 나오기를 기대하는 것은 “전쟁으로 평화를 도모하겠다”는 기대처럼 무모합니다.""
광주교육청도 반복된 채용 비리를 예방하기 위해 일부 위탁전형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장휘국 광주교육감
- "1차 시험을 위탁을 하시라 그러면 교육청이 3배수 또는 5배수 후보를 선발해서 학교로 넘겨주면 학교에서 2차, 3차 전형을 거쳐서 선발하시는게 투명성을 높이고"
하지만 사학들은 신규교사 채용의 교육청 위탁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습니다.
▶ 인터뷰 : 박정열 광주 사립중고등학교법인연합회장
- "위탁이 능사는 아니라 다른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교육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조금 더 시민들이 공감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학 비리 척결에 대한 지역사회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지만, 투명성과 신뢰 회복의 공은
다시 사학들에게 넘어가면서 또다시 흐지부지될 전망입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