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아파트 자치회의 임원 권한이 막강하다보니, 선거 때마다 경쟁이 치열하다 못해 폭력사태나 소송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관위의 위탁선거 제도가 있지만, 외부 개입을 꺼리면서 실제로 활용하는 아파트는 거의 없습니다. 이계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올해 초 광주의 이 아파트는 자치회장 선거를 두고 심각한 갈등을 빚었습니다.
현 자치회장과 반대 측 사이에 말다툼과 몸싸움이 벌어져 결국 경찰까지 출동했습니다.
▶ 싱크 : 아파트 입주민
- " "왜 욕을 해? (아 열받게 하네) 왜 욕을 하냐고 왜 욕을 해?""
국토부의 점검 결과 광주의 20%, 전남의 14%의 아파트가 부적합 판정을 받을 정도로 수억에서 수십억 원에 이르는 관리비 집행이 허술합니다.
보수공사 계약 등 권한이 막강한 아파트 임원 자리를 놓고 폭력과 소송 등이 끊이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불공정, 불투명한 아파트 선거를 막기 위해 선관위가 지난 2013년부터 인력과 투표시스템을 제공하는 온라인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G
하지만 광주전남의 2,286개 아파트 단지 중에 지난 3년 동안 선관위의 위탁 선거 서비스를 이용한 곳은 고작 89곳, 1.7%에 불과합니다.
외부기관의 개입을 꺼리는 분위기 때문인데 선관위와 전남도는 규정을 개선하고 세대당 7백 원 가량인 회선 사용료 등을 지원해 온라인 투표 이용률 높이기에 나섰습니다.
▶ 인터뷰 : 이남오 / 전남선관위 관리과장
- "온라인 투표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민간선거와 투표의 절차적 정당성을 강화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스탠딩 : 이계혁
선관위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아파트 임원 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c 이계혁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