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에 있는 경로당 천 3백 곳에 매년 운영비 등으로 수백만 원씩이 지원되고 있는데요.
경로당 상당 수가 기준인원에 미치지 못하거나 다른 곳과 회원이 중복되고 있지만, 현황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노인 정책에 헛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정의진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시 구동에 있는 한 경로당입니다.
매년 구청으로부터 운영비와 냉*난방비 등의 명목으로 4백만 원 정도를 지급받고 있습니다.
같은 건물에만 경로당이 3곳이 더 있습니다.
<반투명CG>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라 경로당은 최초 회원이 20명 이상이면 등록할 수 있습니다//
<반투명CG>
광주에서는 매년 경로당 천 3백 곳이 적게는 3백만 원, 많게는 8백만 원을 지급받고 있습니다//
한정된 예산을 쪼개서 지원하다보니 냉난방비 외에는 다른 여가 활동 지원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그런데 경로당 대부분이 최소 이용인원인 20명을 넘지 못하는 데다, 이용 노인들 중 상당 수가 다른 경로당 회원으로도 등록돼 있습니다.
▶ 싱크 : 경로당 이용 노인
- "있을 때는 보통 요즘 보면 10명이나 있고..."
▶ 싱크 : 경로당 이용 노인
- "여기 경로당 다닌지 한 4년 돼요, 노대동 경로당도 3년 됐고 (다른 어르신들 중에도 경로당 여러 곳 다니시는 분 있나요)있죠, 여러사람..."
다른 지역의 노인들이 회원으로 등록된 곳도 있었습니다.
▶ 싱크 : 경로당 이용 노인
- "(화순이나 광산구 쪽 거주하시는 분도 계시네요)거기서 여기까지 오세요 (남구민이 아니어도 등록이 가능해요?)네네"
하지만 지자체들은 현황 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너무 이용객이 없다면 통폐합을 하는 게 맞죠. (회원)명부를 받아요, 그런데 중복 여부를 살피는 시스템은 없어요. 전산화가 돼있는 부분이 아니어서"
정확한 현황 파악을 통해 노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