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 도심의 주택에서 백 마리가 넘는 개가 사육되면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수 년째 소음과 악취에 따른 고통을 호소해 왔지만, 관할 구청은 안일한 대응으로 사태를 키웠습니다. 박성호 기잡니다.
【 기자 】
광주 광산구의 한 주택가.
한 가정집 내부로 들어서자 애완견들이 곳곳에서 쏟아져 나옵니다.
분뇨처리시설이 따로 없어 악취가 진동하고 녹슨 철창마다 서너 마리씩 갇혀 있습니다.
도심 주택에서 백 마리가 넘는 개를 키우다 보니 인근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 인터뷰 : 지양수 / 인근 주민
- "너무 불편해서 못 살겠어요 한 마디로 개 때문에 소음 시끄럽지, 냄새 말도 못하게 나지, 고발해도 안 되고 구청, 동사무소 말해도 그 때 뿐이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자라 탓인지 개들의 건강관리는 엉망입니다.
한 쪽 눈이 없거나 심각한 피부병을 앓고 있는 개가 정상 개와 뒤섞여 있었습니다.
▶ 인터뷰 : 명보영 / 수의학 박사
- "방치되고 있는 애들이 꽤 보였어요. 눈쪽 질환이라던지, 피부 질환이라던지, 자세히 보지는 못했지만 외관적으로 그런 사항들이 보였고 전염병 중에서는 외부 기생충도 감염 가능성이 클걸로 보이고요."
이렇게 낳고 길러진 애완견들은 경매장으로
팔려 나갑니다.
▶ 싱크 : 개 주인
- "새끼 낳아서 젖먹인데 죽을지도 모르고 살지도 모르지. (크면 어떻게 하실 거에요?) 크면 판매하지. 경매장에 판매하지."
지난 3년간 주민들이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광산구청은 벌금 100만 원을 한 차례 부과한 것말고는 뒷짐을 졌습니다.
▶ 싱크 : 광산구청 담당자
- "애완견 그냥 사육하고 있다 그런 내용으로만 진술을 하셨기 때문에 그 관련 법률에 따라서만 검토가 이루어졌고, 못 키우게 행정적인, 사법적인 조치를 했을 뿐이고요. 번식 부분까지는 저희는 생각도 못했습니다. "
열악한 환경 속에서 낳고 자란 애완견들이 어디론가 팔려나가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