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전당조직 ‘반쪽 출범’ ... 정상운영 가능할까 ?

    작성 : 2015-07-21 08:30:50

    【 앵커멘트 】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개관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운영조직이 출범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당초 계획의 절반에도 못 미치면서, 전당 운영은 물론 9월 개관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 지 걱정입니다. 김효성 기잡니다.



    【 기자 】
    CG>
    거센 논란 속에 출범한 전당 조직은 전당장과 그 아래 4개과로 구성돼 있습니다

    정원은 50명으로 당초의 절반입니다.

    CG>
    이 적은 숫자로 축구장 전용면적의 22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복합문화단지를 관리해야
    합니다.

    연구개발을 맡은 특수법인 아시아문화원의
    인력도 당초의 1/4로 이마저도 2~3년 동안
    단계적으로 충원될 예정입니다.

    CG>
    전당의 벤치마킹대상인 프랑스 퐁피두센터는
    2천 5백여 명. 전당과 문화원의 숫자를 합해서 우리의 문화의 전당과 15배가 넘습니다.

    ▶ 인터뷰 : 류재한 / 전남대 교수
    - "(특수법인 아시아 문화원은) 앞으로 충원해서 전당에 맞는 창제작이나 교육연구 등 역량을 키워갈 수 있는 조직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여기에 오는 11월까지 일반에 공개되는 개관
    콘텐츠도 60%에 불과한 상태여서 당장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개관행사의 파행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CG>
    이처럼 전당 운영조직이 축소되고 추진단
    조직이 '과' 단위로 흡수되면서 전당 운영뿐만
    아니라 사업비 4조5천억원인 문화중심도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주선 /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 "(문화전당이) 운영이 잘되는지 안 되는지 항상 감시하고 거기에 대해 대책을 부단히 강구하고 (정부에) 요청하겠습니다."

    개관준비 부족에 전당조직이 반 토막난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정상적인 가동과 사업이 가능한지 지역민들의
    눈빛은 불안해지고 있습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