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등 업황 악화…12월 제조업 체감경기 부진 지속

    작성 : 2023-12-28 10:00:02
    반도체 회복 훈풍에도 제조업 업황 BSI 70 전월과 동일
    연말 수요 증가한 비제조업 업황 BSI 1p 오른 70
    경영애로사항은 불확실한 경제상황, 내수부진 꼽아
    ▲ 제조업 현장 자료 이미지 

    반도체 경기 회복에도 화학 등 일부 업종의 업황이 나빠지면서 12월에도 제조업 체감 경기는 부진했습니다.

    경영애로사항은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내수부진에 대한 비중이 높았습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과 같은 70을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 8월 67에서 9월(68), 10월(69), 11월(70)까지 석 달 연속 오른 뒤, 이달에는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경기 회복 기대감에 기타 기계·장비(+9p), 전자·영상·통신장비(+1p)의 체감 경기가 개선됐습니다.

    그러나 중국산 저가 화학제품 공급으로 업황이 나빠지고 스프레드가 축소되면서 화학물질·제품(-6p)은 부진했습니다.

    금속가공(-6p) 역시 전방산업인 건설 부문 경기 악화로 가공수요가 감소하면서 하락했습니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 규모·형태별로 보면 중소기업(+1p)과 내수기업(+2p)은 상승했으나, 수출기업(-5p)은 하락했습니다. 대기업은 전월과 같았습니다.

    제조업 경영애로사항은 불확실한 경제상황의 비중이 가장 높고, 내수부진과 인력난·인건비상승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12월 비제조업 업황 BSI는 70으로 전월 대비 1p 상승했습니다.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연말 예산 소진을 위한 정보기술(IT) 컨설팅 등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보통신업(+4p)의 체감 경기가 개선됐습니다.

    ▲ 기업경기실사지수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2p)은 엔지니어링 사업, 사회간접자본(SOC) 설계 등 연말 수주 실적 증가 영향으로 올랐으며, 운수창고업(+3p)도 원유가격 하락, 해운 운임 단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개선돼 상승했습니다.

    비제조업 경영애로사항은 내수부진의 비중이 가장 높고,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인력난·인건비상승 순이었습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전산업 업황 BSI는 12월 70으로 전월과 동일했습니다.

    내년 1월 업황에 대한 전망 BSI는 전월보다 1p 하락한 68로 집계됐습니다. 제조업(69)에서 1p 상승, 비제조업(68)에서 3p 하락한 결과입니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1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1p 내린 91.1을 기록했습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2.7로 전월에 비해 0.1p 하락했습니다.

    이달 조사는 지난 11∼18일 전국 3천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이 중 3,255개 기업(제조업 1,782개·비제조업 1,473개)이 설문에 답했습니다.

    #12월 #BSI #기업경기실사지수 #반도체 #경영애로사항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