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가 최다" 전기차 리콜 3년간 14배 급증

    작성 : 2023-10-06 10:36:33
    ▲ BMW iX3 사진 : BMW 코리아 

    최근 3년간 전기차 리콜 건수가 14배 이상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무상수리 건수 또한 6배 이상 늘었는데 가장 많이 리콜된 제작사는 BMW코리아(이하 ‘코리아’ 생략)로, 3개 모델(iX xDrive50, i7 xDrive60, iX3 M Sport)에 거쳐 총 25번 리콜이 진행됐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지난 6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기차 리콜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0년 8건이었던 전기차 리콜 건수가 2021년 53건, 2022년 118건으로 3년 사이 14배 급증했습니다.

    2020년부터 리콜 상위 10개 모델 중 9개가 수입 전기차 제품입니다.

    가장 많이 리콜된 제품의 제작사는 BMW로 총 25회 리콜됐으며, 테슬라 제품이 19회, 메르세데스벤츠는 18회 리콜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모델별로 보면, 테슬라의 Model3이 12건으로 가장 많은 리콜 건수를 기록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EQS 450+가 11건, BMW의 iX xDrive50와 한국지엠의 볼트 EV가 각각 10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 외 i7 xDrive60(BMW)이 8건, EQS 450 4MATIC(메르세데스벤츠), iX3 M Sport(BMW), ID.4(아우디폭스바겐), ModelY(테슬라), 타이칸(포르쉐)가 각각 7건으로 리콜 상위 10개 모델 안에 들었습니다.

    전기차 무상수리 실시 건수 역시 2020년 15건, 2021년 64건, 2022년 96건으로 3년간 6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올해 8월까지 실시된 무상수리 또한 95건에 달합니다.

    리콜은 특정 차에 안전과 직결된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제조사가 시정(부품의 수리·교환 등)을 통해 책임지는 방식입니다.

    별도의 수리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대상 차종이 모두 수리받을 때까지 진행합니다.

    반면, 무상수리는 구입 시기 또는 주행거리가 얼마 되지 않은 차에 한해 진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김병욱 의원은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으나 제품의 안정성 부분에서 많은 소비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라며 “수요와 판매가 증가하면서 리콜 건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더라도, 리콜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상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우려는 식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전기차 #리콜 #BMW #국정감사 #김병욱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