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조선인들의 강제 노동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이날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국장급)은 추도사를 통해 "광산 노동자분들 중에는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도 포함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반도에서 온 공로자분들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라고는 하지만 멀리 떨어진 이 땅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며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어려운 노동에 종사했다"고 했습니다.
"종전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심지어 아쉽게도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들도 계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언급으로 당시 조선인의 노동 강제성에 대한 언급은 또 빠졌습니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이 지난해 7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한국이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요구하자 한국 측의 협조를 얻기 위해 약속한 사항입니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열린 올해 추도식에서도 노동 강제성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올해 행사에 불참을 결정해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반쪽 행사로 치러졌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최근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불참 이유를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