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9년에 실종된 당시 초등학교 3학년이던 A씨가 36년 만에 가족과 극적으로 상봉했습니다.
25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1989년 5월 초등학교 3학년이던 당시 실종됐던 A씨를 찾기 위해 다각도로 수사한 결과, 장기 실종자 A씨를 특정해 36년 만에 가족과 재회했습니다.
A씨는 1988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의 건강 악화로 인해 서울 강동구의 고모 집에 맡겨졌습니다.
그러나 1989년 5월 실종되면서 가족과 연락이 끊겼고, 고모가 경찰에 신고했지만 당시 실종자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2022년 7월, 어머니가 실종 신고를 다시 접수하면서 수사가 재개되었습니다.
경찰은 A씨가 다녔던 초등학교 생활기록부 열람, 건강보험 및 국민 지원금 확인, 통신사 가입 여부 등 각종 생활반응을 주기적으로 분석하며 실마리를 찾으려 했습니다.
또한 무연고자일 가능성을 고려해 52개 보호시설을 탐문했고, 309명의 DNA를 채취해 대조하며 시설 입소나 입양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실종자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이용해 유사도 매칭 분석을 시행했고, 최종적으로 39명의 대상자를 압축한 뒤 보호시설 입소 기록을 확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부산 소재 보호시설에서 발견된 아동카드 사진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 A씨를 특정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주민등록번호가 상이해 추가 확인이 필요했고, 1995년 성본 창설 기록을 조사해 A씨의 신원을 최종적으로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유전자 감정을 통해 실종자가 A씨임을 공식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지난달 가족과의 만남을 주선하며 수사를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사례는 경찰의 끈질긴 수사와 기술 발전이 만나 역사적인 재회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