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빛원전에서 '가짜 부품' 논란이 벌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2012년에도 대규모 위조 납품 사태로 원전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이후에도 유사 사례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습니다.
당시 8개 납품업체가 10여 년 동안 위조된 품질검증서를 통해 부품을 납품했고, 무려 7천6백여 개의 가짜 부품이 확인됐습니다.
그중 98%는 영광 한빛 5·6호기에 집중돼 있었으며, 결국 원전 가동이 중단되고 전면 교체가 진행됐습니다.
이듬해에는 1~4호기에서도 위조된 시험성적서 부품이 발견됐습니다.
2018년에는 비상디젤발전기에 사용된 모조품을 납품한 업체 직원이 구속되기도 했습니다.
지역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한수원이 사기를 당했다고만 할 게 아니라, 왜 사기를 반복적으로 당하는 구조인지 점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 말하는 '재발 방지'가 실제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원전 신뢰를 되찾기 위해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