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공항

    날짜선택
    • 흑산공항 연내 착공, 2027년 서울-흑산 1시간 시대 연다
      【 앵커멘트 】 신안 흑산공항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가 사실상 마무리돼 연내 착공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당초 50인승 여객기 운항 계획이 80인승으로 변경되면서 착공시기가 1년 가량 지연되긴 했지만 보다 안전한 공항으로 개항이 기대됩니다. 고익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해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곧바로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던 신안 흑산공항. 공항 실시설계과정에서 50인승 여객기 운항 계획이 경제성 등을 이유로 80인승으로 수정되면서 착공이 또 미뤄졌습니다. 수차례 우여곡절
      2024-06-19
    • 신안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실시설계 마무리..연내 착공 가능
      신안 흑산공항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가 사실상 마무리돼 이르면 연내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남도에 따르면 서울지방항공청이 주관한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지난 4월 환경부에 제출됐고, 80인승 비행기 운항을 전제로 한 실시설계도 최근 마무리됐습니다. 전라남도는 환경부 등이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 결과에 대한 행정적 검토를 마치면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를 거쳐 착공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큰 걸림돌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2024-06-18
    • 신안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실시설계 마무리..연내 착공 가능
      신안 흑산공항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가 사실상 마무리 돼 총사업비가 확정되면 연내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남도에 따르면 서울지방항공청이 주관한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지난 4월 환경부에 제출됐고, 실시설계도 최근 마무리됐습니다. 전라남도는 환경영향평가 결과는 원안 승인이나 조건부 승인, 보완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공사 추진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해 6년 만에 재개된 실시설계는 당초 50인승 비행기 운항을 계획했으나 전 세계적으로 50인승 생산이 중단됐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2024-06-18
    • 흑산공항 연내 착공 무산..개항 시기도 1년 늦춰져
      신안 흑산공항의 연내 착공이 무산돼 개항 시기도 1년 이상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라남도는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가 지난 1월 흑산공항 예정 부지를 국립공원에서 해제하기로 하면서 연내 착공이 예상됐지만, 서울지방항공청의 환경영향평가가 내년 상반기까지로 연장되는 바람에 연내 착공이 어렵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상반기 재개된 실시설계도 내년 5월쯤 마무리될 것으로 보여 오는 2027년에야 개항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흑산공항#연내착공무산#환경영향평가#실시설계#2027년#서울지방항공청
      2023-11-23
    • 신안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 지연으로 연내 착공 무산
      전남 신안 흑산공항의 연내 착공이 사실상 어려워져 개항 시기도 2027년이후로 1년 이상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흑산공항 건설은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가 지난 1월 공항 예정 부지를 국립공원에서 해제하기로 하면서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를 거쳐 연내 착공이 예상됐습니다. 그러나 지난 2월부터 실시하는 서울지방항공청의 환경영향평가가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되면서 연내 착공이 무산됐습니다. 흑산공항 주변 철새 서식지 등에 대한 4계절 환경영향평가가 면밀히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 등이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되면서 환경영
      2023-11-23
    • [추석기획②] 광주·전남 주요 SOC 사업 진행 현황은?
      【 앵커멘트 】 추석을 맞아 광주 전남 주요 현안을 점검하는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 광주전남의 대형 철도와 도로 등 SOC 사업의 추진 상황을 알려드립니다. 호남고속철 2단계 사업은 2025년 준공을 목표로 공정률 20%대를 보이고 있고, 흑산공항은 올해 말 착공 예정입니다. 이계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광주 도시철도2호선은 광주 5개 구를 도는 순환선입니다. 현재 시청과 백운광장-조선대-광주역 등을 잇는 1단계 공사가 진행 중이며 개통 시기는 2026년입니다. 전남대와 일곡-첨
      2023-09-29
    • 흑산공항 설계변경으로 지연 우려..안전성은 높아진다!!
      【 앵커멘트 】 지난 2월 공항 예정지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본격적인 사업추진이 기대됐던 흑산공항 건설 사업에 새로운 변수가 생겼습니다. 당초 설계에 반영하기로 한 50인승 소형항공기 운항이 어렵게 돼 설계 변경이 불가피해진 건데 그 사정과 전망을 고익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신안군 흑산면 예리에 들어설 예정인 흑산공항. 활주로 길이 1,200미터 폭 35미터 규모로 50인승 운항을 기준으로 설계됐습니다. 지난 2월 흑산공항 예정지가 국립공원에서 해제되면서 사업 추진 10년 만에 탄력을 받는가
      2023-09-14
    •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 항목.범위 결정으로 본궤도 진입
      흑산공항 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의 평가항목과 범위가 결정돼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서울지방항공청은 전남도청에서 흑산공항 건설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열고 평가항목과 범위등을 결정했습니다 전라남도는 이에 따라 2017년 중단됐던 실시 설계가 조만간 재개되면 연내 착공과 함께 2026년 개항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 흑산면 예리 일원에 들어서는 흑산공항은 천833억 원을 들여, 길이 1,200미터 활주로와 계류장, 터미널 등이 갖춰지고 50인승 이하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습니다
      2023-04-04
    • 흑산공항 환경영향평가 항목ㆍ범위 결정으로 본궤도 올라
      흑산공항 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의 평가항목과 범위가 결정돼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서울지방항공청은 오늘 전남도청에서 흑산공항 건설 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열고 평가항목과 범위 등을 결정하고 환경영향평가 정보 시스템을 일반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전라남도는 흑산공항 건설에 걸림돌이었던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일부 해제를 위한 국립공원계획이 지난 1월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한데 이어 환경영향평가항목과 범위 등이 정해져, 공항건설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흑산공항 건설사업은 신안군 흑산면 예리 일원에
      2023-04-04
    • 오승용 대표 “흑산 공항, 중국과 분쟁시 전초기지 역할 할 것”[와이드이슈]
      전남 신안군의 숙원이었던 ‘흑산 공항’이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의 국립공원 해제 결정으로 11년 만에 건설이 확정된 가운데 “중국과 분쟁 시 전초기지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오승용 킹핀정책리서치 대표는 1일 KBC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흑산 공항 건설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오승용 대표는 “이미 해경에서는‘흑산 공항이 들어서면 배타적 경제수역 순찰과 중국 어선 단속 등의 업무를 수
      2023-02-02
    • "오랜 설움 풀었다".."관광 활성화 기폭제 기대"
      【 앵커멘트 】 신안 섬 주민들의 숙원이자 전남의 최대 현안 사업인 흑산공항이 드디어 본궤도에 오르자 신안 군민들이 크게 기뻐하고 있습니다. 120일 동안 섬을 오갈 수 없던 불편을 떨치수 있게 된 건데요. 전라남도와 신안군은 환경영향평가와 실시설계 등 남은 절차에 만전을 기해 연내 착공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신안 흑산도에서 나고 자란 60대 주민 이상원 씨는 흑산공항 건설사업의 승인 소식에 만감이 교차합니다. 몸이 아프고 가족일이 생겨도 강풍과 안개로 여객선 운항이 통제돼 발이
      2023-02-01
    • '15년 숙원' 흑산공항 건설 승인..연내 착공 기대
      【 앵커멘트 】 전라남도와 신안군의 15년 숙원 사업인 흑산공항 건설이 드디어 승인됐습니다. 국립공원위원회가 공항건설을 위해 국립공원 해제를 최종 확정했습니다. 지지부진했던 행정절차가 마무리된 건데요. 연내 착공에 들어가면 2026년부터는 경비행기를 타고 흑산도를 갈 수 있게 됩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국립공원위원회는 전체 회의를 열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공원구역 변경계획'을 심의해 흑산공항 부지의 국립공원 해제를 의결했습니다. 확정된 공원구역 변경은 공항건설을 위해 국립공원 부지를 해제하고, 대
      2023-01-31
    • 흑산공항, 국립공원의 심의 통과..2026년 개항 목표
      전라남도와 신안군의 오랜 숙원 사업인 흑산공항 건설에 빗장이 풀렸습니다.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오늘(31일)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계획'을 심의해 흑산공항 부지의 국립공원 해제를 의결했습니다. 이로써 공항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된 지 15년 만에 지지부진했던 행정절차가 마무리되고 연내 착공을 기대하게 됐습니다. 이날 확정된 공원구역 변경은 공항건설을 위해 국립공원 부지를 해제하고 8배 넓은 대체부지를 공원으로 편입했습니다. 흑산공항은 국비 1,833억 원을 투입해 흑산면 예리 일원에 활주로 길이 1,200m, 폭
      2023-01-31
    • 국힘 이준석 해임..광주전남서 한 약속 어쩌나?
      【 앵커멘트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해임 사태를 두고, 광주와 전남 지역민들은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전 대표가 흑산공항 조기 완성과 군공항 이전 등 많은 약속을 했는데, 모두 허사가 되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공항 이전을 국정과제로 채택한 윤석열 정부가 출범 100일이 지나도록 이렇다할 정책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상 실패한 시ㆍ도 협의 이전 대신 정부 주도의 추진을 위해 특별법이 필요한 데, 아직까지 국회에 낸 법안은 없습니다. ▶ 인터뷰(☎
      2022-08-23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