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발굴 작업 8년 만에 재개

    작성 : 2017-10-18 19:00:47

    【 앵커멘트 】
    37년 만에 5.18 희생자 암매장에 대한 진실이 드러나게 될지 관심입니다.

    가장 유력한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옛 광주 교도소 터에서 첫 현장 조사가 실시됐습니다.

    8년 만에 재개된 암매장 발굴 작업은 이번이
    4번째입니다.

    보도에 김재현 기잡니다.

    【 기자 】
    5.18기념재단과 광주시는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옛 광주교도소 터에서 현장조사를 벌였습니다.

    현장에는 5.18 당시 암매장 상황을 목격한 제보자들이 동행했습니다.

    ▶ 인터뷰 : 김양래 /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 "굉장히 정확하게 짚어 주셨기 때문에 (추정) 장소가 굉장히 넓은데 그걸 좀 더 좁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작업은 이번이 네번째입니다.


    지난 2002년과 2006년, 2008년 등 세 차례에 걸쳐 발굴 작업이 이뤄졌지만 5.18과 연관성을 찾기 어렵거나 유가족을 찾지 못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8년 만에 발굴 작업이 재개된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그동안 암매장에 대한 증언과 제보가 잇따랐던 곳입니다.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이 주둔했던 곳으로 5.18 직후 관사 주변과 인근 야산에서 11구의 시신이 암매장 상태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 인터뷰 : 김양래 /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 "과거에 교도관들의 증언이 필요해요. 어디까지가 사실인가 여부를 파악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요. 촘촘히 내용을 챙겨봐야 할 상황입니다."

    5.18재단과 광주시는 옛 광주교도소에 이어
    화순 너릿재와 무등산 제2수원지 상류 등 다른 암매장 추정지에 대해서도 발굴 작업을 벌일
    계획입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