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 산업 규모 1조 원 돌파·이용자 수 6백만 명 육박

    작성 : 2023-09-07 11:36:54
    작가들 평균 연간 수입 약 3,487만 원
    제작사 등 평균 매출액 약 9억 9천만 원
    ‘2022웹소설 산업현황 실태조사’ 결과발표
    산업 성장세 ‘긍정’..불공정계약 등 과제도
    ‘민관 웹소설 상생협의체’ 표준계약서 제정
    ▲ 국내 웹소설 산업규모 추정치 : 문화체육관광부 

    현재 국내 웹소설 분야 산업 규모는 약 1조 390억 원, 웹소설 이용자 수는 약 587만 명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는 2020년도 6,400억 원 대비 3,990억 원 증가(62% 성장)한 것으로 웹소설 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김준희)과 함께 계속 성장하고 있는 웹소설 시장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개선의 기초 통계를 확보하고자 ‘2022 웹소설 산업 현황 실태(’21년 기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웹소설 분야에 있어서는 정부가 처음 실시한 실태조사로 앞으로 2년마다 조사가 이루어질 계획입니다.

    ◇ 웹소설 산업 관련 정부 첫 실태조사

    이번 조사 결과, 주요 조사항목 중 답변 순위로 살펴본 창작자의 모습은 공모전을 통해 등단(24.8%)해 주로 가족이나 성장형 장르(50.8%)의 작품 하나를 단독 작업(75.0%)으로 6~12개월 미만(31.8%)에 걸쳐 완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가들의 평균 연간 수입은 약 3,487만 원으로, 이 중 웹소설 연재를 통한 수입은 약 46.1% 수준이었습니다.

    작품 한 편에 대한 평균 창작활동 비용(100만 원 미만, 28.2%)과 평균 원고료 수준(10~100만 원 미만, 27.8%)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익배분 비율은 7:3(작가:관계사, 42.4%) 정도가 가장 많았습니다.

    웹소설 제작사 및 플랫폼 기업의 경우, 평균 매출액이 약 9억 9천만 원 수준이고 그중 웹소설 매출은 61.7%를 차지하며, 2차적 저작권 매출의 경우 웹툰이 차지하는 비중(43.5%)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체 내 평균 종사자는 9.5명이고 그중 웹소설 분야 종사자는 평균 7.1명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소속된 웹소설 작가는 평균 16.4명으로 그중 독점 작가 수가 3.7명을 차지했으며 2021년 한 해 동안 평균 28.7개의 작품을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웹소설을 최소 월 1회 이상 본 이용자의 경우, 최근 1년간 거의 매일 이용하는 경우(34.5%)가 가장 많았고, 주중/주말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35.6%/28.6%)이 가장 높았습니다.

    주로 대여 결제(40.5%)를 이용해 현실 로맨스 장르(47.4%)를 즐겨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불공정계약, 불법복제 등 개선 과제 지적

    불공정행위 사례와 표준계약서 관련 조사 결과에서는 창작자의 경우, 계약서 내용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응답(30.8%)이 많았습니다.

    또 웹소설 관련 거래 시 둘 중 한 명이 불공정을 경험(55.0%)했음에도 법률적 문제 발생 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비율(11.4%)이 낮았습니다.

    웹소설 분야의 별도 표준계약서가 필요(83.8%)하다는 인식은 높게 나타나는 등 창작자 권리보호를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불공정 유형은 2차적 저작권 등이 제작사에 유리한 일방적 계약(34.4%) > 계약 전 계약 내용 수정요청을 하였으나 거부(33.4%) > 매출이나 정산 내역을 불성실하게 제공(32.6%) 등이었습니다.

    아울러, 제작사와 플랫폼 기업의 경우,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41.6%)가 크며, △한국 웹소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해외 진출을 위한 웹소설 번역 지원(54.9%)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불공정계약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자 권리보호, 저작권 보호, 투명한 수익배분 등 향후 웹소설 분야 표준계약서에 담겨야 할 기본적 내용에 대해서도 제시했습니다.

    자세한 실태조사 결과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누리집(www. kpip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작가, 기업, 정부 등 참여한 공론의 장 마련

    아울러 이번 실태조사 결과 등을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 ‘민관 합동 웹소설 상생협의체’가 9월 8일(금)에 출범합니다.

    민간 측에서는 작가, 출판사 등 제작사, 플랫폼 기업, 학계 및 법률 전문가가 참여하고, 정부 측에서는 문체부와 공정거래위원회가 참여합니다.

    이번 협의체는 K-콘텐츠의 원천인 웹소설 산업이 앞으로도 지속 성장하려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산업생태계 내 주요 구성원 간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만들어졌습니다.

    협의체에서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도출한 표준계약서 필수조항을 기초로 웹소설 표준계약서 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불법유통 근절 등 웹소설 산업 진흥방안과 △고유 식별체계 도입 등 웹소설 창작자와 업계가 직면한 현안을 균형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강수상 문체부 미디어정책국장은 “웹소설은 가장 인기 있는 K-콘텐츠 중 하나로, 원천콘텐츠로서 무한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며, “저작권 보호, 인력양성, 해외 진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도 계속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웹소설 #작가 #제작사 #플랫폼기업 #출판문화 #표준계약서 #산업현황 #창작활동 #저작권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