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동연구원은 14일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난 2017년~2019년 통계에 따르면, 한 번이라도 결혼한 적이 있는 비율을 일컫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소득 수준에 따른 혼인 비율 차이는 40세 이상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었습니다.
30대 중후반(36∼4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였습니다.
40대 초중반(41∼4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58%, 상위 10%는 96%였고 40대 중후반(46∼5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73%, 소득 상위 10%는 98%가 혼인을 해봤습니다.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