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생방안 마련을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도 요구했습니다.
복합쇼핑몰 광주상인 대책위원회는 오늘(31일) 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시에 상인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과 공식적인 대화 창구 마련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기다려보라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유통대기업들의 입점 계획은 이미 제출되고 공개됐지만, 광주시의 대화 창구는 여전히 막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복합쇼핑몰 입점은 누군가에겐 생존권이 달린 문제"라며 "코로나19로 기나긴 어둠의 터널을 빠져나오자마자 고금리 인플레이션에 또다시 고통받고 있는데, 초대형 복합쇼핑몰까지 들어서면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지난 2021년 8월 대전에 건립된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와 주변 상권을 둘러보고 왔다는 이들 단체는 "기존 패션상가에서 일하던 직원들이 다 대기업으로 간다. 사실상 일자리 창출이 아니라 일자리 이동"이라며 "대전에 있던 토종 백화점은 원룸으로 바뀌었다"고 전했습니다.
끝으로 이들은 "만나야 답이 나오고 이야기를 나눠야 안이 나온다"면서 "복합쇼핑몰 민관협의체를 당장 구성하고, 불통 행정에 대해 사과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복합쇼핑몰 광주상인대책위는 내일(1일) 임택 동구청장과 함께 대전을 재차 방문해 복합쇼핑몰 입점에 따른 상권 변화 실태를 다시 한 번 점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