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포위한 태양광발전소,논 가운데도 버젓이

    작성 : 2016-07-02 20:50:50

    【 앵커멘트 】
    전남지역의 태양광발전소 난립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해남의 한 마을은 온통 태양광발전소에 포위될 처지에 놓였고, 영암에서는 벼 논 사이 사이에 태양광발전소가 알 박히듯 들어섰습니다.
    보도에 송도훈기자입니다.

    【 기자 】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입니다.

    태양광발전소가 즐비하게 들어서 있습니다.

    가깝게는 주택과 50미터 거리에 있고, 발전소에서 5백미터 안에 한자 마을과 산소 마을 등 마을 4개가 있습니다.

    여기다 마을 앞 염전 터에 올해 대규모 태양광발전소가 건립될 예정이어서 산소 마을은 태양광발전소에 포위될 처지입니다.

    ▶ 싱크 :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마을 주민
    - "일단 못하게 (반대) 현수막을 걸어 놓았어요. 저쪽은 바로 옆이라 산소리 마을이 옆이라 못하게 지금..."

    한자리 4개 마을 주변에 들어설 태양광발전소는 54 메가와트 규모로, 축구장 100개에 맞먹는 60만 제곱미터의 땅이 태양광발전소로 뒤덮히게 됐습니다.

    목포-광양 간 고속도로 옆에 있는 영암군
    학산면의 농경지입니다

    벼가 심어져 있어야 할 논에 어울리지 않게 태양광발전소가 들어서 있습니다.

    하늘에서 들판을 내려다 봤습니다.

    논 사이 사이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소가
    꽤 넓은 규모입니다.

    친환경을 추구하는 태양광발전사업이 환경적 가치를 외면하는 것에 대해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소로 자연경관이 무분별하게 훼손되자 전라남도가 관련 지침을 마련해 환경보전에 나섰지만 별 소용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스탠딩 : 송도훈 / sodohoo@ikbc.co.kr
    - "태양광발전소가 무질서하게 난립하게 된 책임은 최종적으로 개발행위 허가 권한을 가진 일선 시군에게 있습니다. "

    발전사업 허가 권한이 산자부와 도, 시군으로 나눠져 있고 또 발전 허가 때는 뾰족한 제재방법이 없으니 결국 시군에서 개발행위 허가를 할 때 환경 문제와 주민 수용성을 고려해 무질서한 난립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kbc송도훈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