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박근혜 정부의 규제개혁 1호죠, 푸드트럭 정책이 발표된 지난 2004년 초만 해도 2천대 이상, 6천 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2년이 지나도록 광주*전남에서는 단 2대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어찌된 일인 지, 백지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 13일부터 광주 우치공원에서 영업을 시작한 푸드트럭입니다.
1년여에 걸쳐 공원관리계획 변경과 위치선정, 사업자 선정 등의 긴 작업을 거쳤습니다.
하지만, 공원 산책로에 자리잡은 푸드트럭은 시행 초기라 그런지 찾는 손님이 거의 없습니다.
공원과 하천부지, 관광단지 등 영업지역이 한정되고, 유동인구도 적은 곳들이라 희망자를 모집해도 미달되기 일쑵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저희가 3개소를 선정해가지고 모집을 했었어요. 신청한 곳이 없었어요"
푸드트럭 정책이 나온지 2년이 넘었지만, 전국적으로 운행 중인 180여 대 가운데 광주,전남은 달랑 2대뿐입니다.
광주시청 스케이트장 옆에 있던 푸드트럭은 스케이트장 폐장과 함께 자취를 감췄고, 장흥에 있는 푸드트럭은 주말에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푸드트럭이 이렇게 천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상권과의 충돌을 우려한 지자체들이 허가를 꺼리기 때문입니다.
▶ 싱크 : 지자체 관계자
- "민원이 들어오면 안 나갈 수가 없어요. 대책을 안 세울 수가 없어. 그러다보니 상당히 애로사항이 있어요"
반면 경기도나 부산처럼 푸드트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경기도는 조례 개정으로 영업지역을 지역행사와 축제에서까지 허용해 지역축제의 명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스탠딩 : 백지훈 기자
- "지자체들이 민원을 이유로 유동인구가 적은 곳에서만 푸드트럭을 허가하다보니 정부의 규제 완화는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습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