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백 50억원에 이르는 벼 경영안정대책비
용도를 둘러싸고 전남도와 농민단체가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대체 벼 경영안정 대책비가 어떤 돈이길래 논란을 빚는 걸까요?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전남도는 지난해 5백 50억원의 벼 경영안정대책비를 책정해 이 중 절반을 농업 경쟁력 강화에 쓰도록 시군에 지시했습니다.
인터뷰-명창환/전남도 식품유통과장
"장기 경쟁력 제고가 되어야"
이에 대해 농민단체는 지금까지와 같이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라고 요구하며 관련 조례를 주민 발의로 청원했습니다.
인터뷰-김봉용/전농 광주전남연맹 부의장
지난 2천 1년 쌀값이 끝없이 추락하자
전남도와 시군은 4대 6의 비율로 벼 경영
안정대책비를 책정해 농가 소득감소분을
보전했습니다.
(c.g.) 이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해
지금까지 4천억원 40억원을 직불금 형태로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10년간 쌀 산업 경쟁력이
제자리를 걷자 전남도는 공동 육묘장과
건조장 등 마을 단위 공동 사업으로
지원방식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농민단체는 대다수인 중*소농 보다대농 등 일부 농민들에게 특혜가 돌아가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이 예산을 늘려온 도의회는 다음주 임시회를 열고 해법을 찾을 계획이지만
의원별로 경쟁력 강화에 공감하면서도
해법은 제각각입니다.
su//벼 경영안정대책비를 둘러싼 논란이
이번 도의회 임시회 기간에 종식이냐
증폭이냐 갈림길에 서게 될 전망입니다. KBC 정지용입니다.
랭킹뉴스
2025-04-09 11:32
도로공사 소음에 '뱀장어 폐사'.."전라남도 배상 책임"
2025-04-09 10:17
"尹파면 감사합니다" 노출했다가 별점 테러당한 치킨집..이번엔 '돈쭐' 예고
2025-04-09 10:10
박나래, '55억 자택'에 도둑 침입..수천만 원 금품 도난
2025-04-09 09:57
전남 무안군, 구제역 '막바지'..방역대 이동제한 해제 검사
2025-04-09 07:50
도미니카공화국 나이트클럽 지붕붕괴로 최소 58명 사망..가수·야구선수 포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