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메이저 비:료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해 담합하면서, 유:기 비:료를 생산하는 지역 중소업체들은 판로를 못찾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업체까지 난:립하면서 설 땅은 더욱 좁아지고 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콩껍질과 피마자박 등으로
유기농 비료를 생산하는 이 업체는
연간 4만톤의 생산시설을 갖췄지만
현재는 3천톤만 생산하고 있습니다.
유기농 비료의 판로를 찾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으려면
농협을 통해 팔아야 하는데
판매 창구가 몹시 제한적입니다.
또 일반 유통시장은
대형업체들이 장악하고 있어
끼어들 틈이 없습니다.
인터뷰-김성민/생산업체 팀장
"어려움이 적지 않지요."
여기에 계분 등 그동안 유기농 비료의
원료로 사용했던 재료마저 최근에
사용을 못하게 규제가 강화되면서
원료의 80%를 수입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유기농비료 생산 업체는
전남에만 80곳이 넘고,
이 가운데 정부지원을 받는 업체도
62곳에 이를 만큼 난립 상태입니다.
그러다 보니 수익을 못내는 업체는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하고,
대형업체가 사실상 가격을 쥐락펴락 하면서
지역 업체들의 설 땅이 더욱 좁아지고
있습니다.
su// 유기농 비료를 생산하는 중소업체는 대형업체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수익을 못내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c정지용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7-18 11:09
"인간같지 않은 것들과 못 살아" 게임 캐릭터 죽인 아들 때리고 아내 흉기위협한 30대
2025-07-18 10:02
한솔제지 30대 노동자 분쇄기에 빠져 숨져..회사는 사고 발생도 몰라
2025-07-18 08:17
물 폭탄에 마비된 광주..버스도 잠기고 시민 고립
2025-07-17 22:27
경기 광명 아파트 지하주차장 큰불..3명 심정지
2025-07-17 21:18
망상 사로잡혀 여동생에 흉기 휘두른 20대 오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