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온라인 신청률 17.9%p 대폭 상승..데이터 기반 행정모델 창출

    작성 : 2023-12-13 12:30:02
    온라인 고용보험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행정처리 서비스 개선
    전화민원 감소·고객만족 등 효율성 향상
    워크넷 구인 신청서 등 민원 신청 확대
    ▲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한국고용정보원 전경 사진 :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은 고용보험 민원 신청서의 온라인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신청 저해 요인을 개선한 결과, 전화민원이 감소하고 고객 만족 및 행정처리 업무 효율성이 향상됐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온라인 신청이 가장 많은 민원인 ‘실업급여(‘22년 1,240만 건)’를 선정해 웹 로그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웹 로그를 통한 정량적인 분석 외에 온라인 신청서를 완료하지 못하고 중도에 이탈한 민원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도 실시하여 중도 이탈 사유 데이터를 수집·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온라인 민원신청 시 특정 단계에서 신청을 완료하지 않고 중도 이탈이 크게 발생한 구간과 이탈 사유를 확인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용자 중심의 과제를 발굴하여 적용했습니다.

    그 결과, 온라인 신청률은 17.9%p(57.8%→75.7%) 상승했으며, 실업급여 민원 전화는 12.1%(일평균 315건→277건) 감소했습니다.

    기존 온라인 서비스 개선 방식은 이용자 설문 또는 고객 접점에 있는 직원의 의견을 받아 담당 부서에서 전산 부서에 개선을 요청했던 방식이었습니다.

    이 방식은 단편적인 개선에 국한되고 개선 효과에 대한 환류가 없으며 단발성 개선에 그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한국고용정보원이 새롭게 시도한 개선 방식은 웹 로그 데이터를 수집 후, 데이터 기반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해 적용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개선하는 애자일(지속적인 환류와 개선)방식으로 추진했습니다.

    ▲ 새로 도입한 웹 로그 분석을 이용한 개선 방식 사진 : 한국고용정보원


    이 같은 성과를 기반으로,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의 적용 범위를 고용보험 민원 신청서뿐만 아니라 워크넷 구인 신청서 등 7종으로 확대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용 패턴 분석 방식은 과거 종이 신청서를 온라인화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민이 한 번에 온라인 신청을 완료할 수 있도록 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모델입니다.

    정부의 모든 민원 신청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국민이 어려워하는 단계를 확인해 근본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신청서 간소화 및 법정 용어, 신청 절차 변경 등 세부적 제도 개정 사항 발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영중 원장은 “정부의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 민원 서비스 개선 모델을 새롭게 발굴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개선 모델을 발전시켜 고용정보망의 온라인 민원 서비스에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민원 서비스가 사용자 중심으로 바뀌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습니다.

    #실업급여 #온라인 신청 #데이터 #행정모델 #고용보험 #한국고용정보원 #행정처리 서비스 #전화민원 #고객만족 #워크넷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