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거듭된 기준금리 인상 탓에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이 신용대출 규모를 축소됐고, 이에 신용도가 낮은 서민들이 질 낮은 대출 창구로 밀려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지난해 6.9%보다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는 2019년 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입니다.
'기타 기관 등'은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입니다.
2019년 정점을 찍은 '기타 기관 등' 대출 가구주 비중은 매년 하락해 지난해 6.9%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다시 8% 턱밑까지 상승했습니다.
또 다른 급전 대출 창구 중 하나인 보험회사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같은 기간 0.8%에서 1.1%로 상승했습니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 비중은 78.8%로 지난해 79.8%보다 1.0%p 하락했습니다.
은행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 75.3% 이후 매년 상승하다가 4년 만에 뒷걸음질 쳤습니다.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지난해보다 각각 0.2%p씩 하락한 3.8%, 8.4%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줄였고, 결국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인 대부업으로 신용대출 수요가 이동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