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러 파병군 추모 행사...'민심 이반 차단ㆍ러 보상' 의도

    작성 : 2025-08-30 16:30:01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다가 숨진 장병들의 유가족을 위로하는 대대적인 보훈 행사를 또 개최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인민군 해외작전부대 참전군인들에 대한 제2차 국가표창 수여식이 29일에 진행되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들이 지난 2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 '추모의 벽'을 세우고 전사자 초상 101개에 메달을 수여했다고 보도한 지 일주일여 만에 두 번째 추모 행사를 연 것입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최고급 국빈용 연회장으로 꼽히는 평양 목란관으로 유족들을 초청해 인공기로 감싼 전사자들의 초상을 일일이 전달하고 이들과 기념촬영을 했습니다.

    조선중앙TV가 공개한 영정사진은 총 242개로, 김 위원장은 유족들과 4회에 걸쳐 기념촬영을 했습니다.

    '해외군사작전에서 위훈을 세운 군인들'에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과 금별메달, 국기훈장 제1급이 수여됐습니다.

    김 위원장은 "국가표창 수여식에서 유가족들을 만나볼 때 그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 분들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였다"며 "그래서 영웅들의 유가족 모두를 다시 이렇게 따로 만나 다소나마 위로해드리고 슬픔과 상실감을 덜어드리고 싶은 심정에서, 오늘 이와 같은 자리를 마련하도록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귀중한 그들의 생을 지켜주지 못한 미안한 마음을 안고 유가족들 모두에게 다시 한번 속죄한다"며 "영웅들이 남기고 간 자녀들을 혁명학원들에 보내여 내가, 국가가, 우리 군대가 전적으로 맡아 책임지 잘 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혁명학원은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다가 사망했다는 이른바 혁명가 유자녀를 당 간부 후보로 키우기 위한 특수 교육기관입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평양시 대성구역에 참전군인 유족들을 위한 새 거리를 조성할 것이라며 "우리 군인들의 별처럼 빛나는 위훈을 칭송하여 '새별거리'로 명명하자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새별거리 바로 앞 수목원의 명당자리에 전사자들의 유해를 안치하고 '불멸의 전투위훈 기념비'를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는 유족들이 전사자의 사진을 품에 안으며 오열하는 모습, 어린 아이들이 아버지의 사진을 쓰다듬으며 훌쩍이는 장면이 가감 없이 담겼습니다.

    조선중앙방송은 오전 6시부터, 조선중앙TV는 오전 9시부터 이번 행사를 보도해 추모 분위기를 끌어올렸습니다.

    이처럼 북한이 2차 국가표창 수여식을 열어 유족들을 예우한 것은 대규모 사상자 발생에 따른 군의 사기 저하와 민심 이반을 차단하기 위한 의도로 평가됩니다.

    1차 국가표창 수여식 당시 포착된 전사자 초상화 수는 총 101개였는데, 당시 포상하지 못한 전사자 240여 명에 대해 차례로 포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포상해야 할 전사자가 남은 만큼 3차 국가표창 수여식도 조만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 국회에 북한군 피해는 전사자 600명을 포함해 총 4천 700명이라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북한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러시아에 대한 자신들의 희생을 강조함으로써 상응하는 외교 및 경제적 보상을 끌어내려는 의도도 읽힙니다.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3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9월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이 진행되는 동안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양자 회담을 조직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