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러시아', 협정 체결…"한쪽 침략 당하면 상호지원"

    작성 : 2024-06-19 23:15:48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한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9일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은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해당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회담 뒤 언론발표에서 푸틴 대통령은 "오늘 서명한 포괄적 동반자 협정은 무엇보다도 협정 당사자 중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을 제공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는 양 국가간 전쟁 개입 상호협력으로 지난 1961년 북한과 옛 소련이 체결한 '조·소 동맹조약'에 포함됐던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항'에 근접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지만, 그 수준에까지는 못미친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동군사개입 조항은 한 쪽이 무력침공을 당해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되면 상대방은 지체 없이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입니다.

    조·소 동맹조약은 소련이 1990년 한국과 수교를 맺고 1991년 해체된 뒤 1996년 이 조약을 연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하면서 폐기됐습니다.

    지난 2000년 체결된 북러 '우호·선린·협조 조약'에는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제외됐지만 유사시 즉각 접촉한다는 내용이 남아 있기도 합니다.

    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두 나라 사이 관계는 동맹 관계라는 새로운 높은 수준에 올라섰다"고 선언하며 동맹관계 복원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이날 푸틴 대통령은 '동맹'을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상호 지원'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북한과 군사협력을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뜻으로 밝혔고, 또 이번 협정이 상호 안보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이날 협정 체결로 북러 관계는 선린 우호 관계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습니다.

    향후 북러는 군사 분야를 포함해 더욱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